Q. 어제 장마감후 애프터마켓에서 지금까지 농심주가가 급등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케이팝데몬헌터스의 인기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우선 경쟁사인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의 해외판매량이 급증하면서 기업가치가 상승한 것 처럼,농심의 경우도 케데헌에서 등장한 농심라면의 인기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기업가치가 한차원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 같습니다. 물론 농심라면은 이미 해외 판매량이 어느 정도 나오고는 있지만,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경우 영업이익이 확실히 좋아질 것입니다.다만 후속 마케팅이나 제품 segmentation 등이 원활하게 보완 개선되지 않는다면, 일회성으로 그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Q. 한미정상회담 잘 풀린 건가요? 국장에 끼칠 영향은요?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정상회담은 우려하던 이슈(관세 조정, 기타 불공정 조약)가 언급되지 않아 비교적 잘 마무리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그렇기에 국장(국내기업)에 추가적인 불확실성 내지는 부정적 영향이 크게 없어 견조한 흐름은 유지 될 것 같습니다.다만, 국내 기업의 투자 규모가 어느 정도 정해졌고, 이에 대해서 우리 기업이 얻게될 수혜적인 측면이 가시화되는 단계에서 주가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줄 것 같습니다.미국정부의 해외기업 투자 부분에 대한 Exit및 배당제한 등이 있다면, 사실상 국내기업의 실적이나 주가에 안좋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트럼프의 역대 정책 추진상황을 보자면 아무래도 자국우선주의 경향이 강하므로, 우리 기업에 수혜가 될 여지는 적어보입니다.따라서 이번 정상회담, 그리고 그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어떻게 흘러갈지 모르겠지만 확실한건 엄청나게 큰 수혜가 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개별적으로 기업실적에 따른 업종별 접근으로 시장을 바라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Q. 경제로만 봤을 경우에 남과 북의 통일이 경제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불과 몇 년전까지만해도 통일로 인한 경제효과는 득이 더 큰 것으로 판단했습니다.북한의 각종 천연자원 및 개발가능지역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이고, 인구증가로 인한 내수경기 활성화 측면에서는 단연코 경제성장이 촉발될 것이다라고 보는 시각이 대다수였으나,최근에는 통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예측이 어려운 부분 때문에 오히려 경제 침체 혹은 역성장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결국 정치의 안정화가 선결된다면, 즉 사회통합이 가능하다는 전제조건이라면 명약관화하게 경제에 큰 도움이 되겠지만, 독일의 예를 보더라도 통일 이후 난관이 많았던 점을 미루어 보아, 쉽지 않다는 것이 정론입니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분열양상이 존재하는데....북한과 합쳐지면 더 힘든게 사실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