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작게나마 사업의 아이템이 있다면 발을 들여놓아볼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저라면 미리 준비는 천천히 해둘 것 같습니다.아직 불투명한 상황에서 바로 모든 것을 걸고 시작하기 보다는아이템이 어느정도 확정되고,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둔 후에 시작할 것 같은데요.예를 들어 현재 직장이 있다면 이를 통해 고정 수입을 벌면서뒤에서는 사업을 위한 계획을 완성하고, 실제 오픈을 하기 전 단계까지 미리 준비를 하거나,간단히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등의 작업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검토해 봄으로서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 같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화장품 기업에는 어떤 기업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대기업군으로 가장 유명한 곳은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입니다.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 이니스프리, 라네즈 등을 보유하고 있고,LG생활건강은 후, 오휘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또, 클리오, 토니모리, 네이처리퍼블릭, AHC 등 다양한 기업들이 있습니다.
Q. 회사에서 급여를 받으면 보통 저축은 몇퍼센트정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딱 정해진 것보다는 개인의 경제상황에 맞춰야 합니다.다만, 보통은 월 급여의 50% 정도면 매우 우수한 정도로 생각합니다.300만원을 번다면 150만원이 매우 좋다고 생각하며, 여기서 개인의 상황(주거상황, 대출상황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조금 낮추거나, 높일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100만원은 하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Q. 주식시장에서 단타란 기간과 몇 프로 수익 예상?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딱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개인의 성향에 따라서 단타라고 해도 다소 길 수도 있고, 장기투자라고 해도 조금 짧거나, 훨씬 길 수도 있습니다.그 기준은 개인이 만들어가기 나름이라고도 생각합니다.몇시간을 보유하기도 하며, 일주일 이내를 말하기도 합니다.수익률 역시 정해진 것은 없으나, 단타는 장기투자에 비해서는 짧은 기간 조금씩 수익을 내는 구조이기는 합니다.그래서 시드머니가 클 수록 짧게 조금의 수익률이어도 다소 큰 금액을 얻어가는 것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