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구려 백제에도 화랑같은 기관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구려와 백제는 모두 동아시아에서 발전한 고대 국가 중 하나로, 화랑과 비슷한 기관이 있었습니다.고구려의 경우, 궁중 내부에는 왕과 왕비, 중요한 관료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궁"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궁내에는 대신, 선비 등의 관리들이 있는 "평양"이라는 기관이 있었습니다.백제의 경우에는, 궁중 내부에는 왕과 왕비, 중요한 관료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궁내에는 장작관, 참모관, 무위관 등의 관리들이 있는 "종칙"이라는 기관이 있었습니다.이러한 화랑과 유사한 기관은 그 역할이나 명칭은 서로 다르지만, 궁중에서 권력을 행사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기관으로 존재하였습니다.
Q. 달력에서 2월 달만 왜 28일까지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2월달의 날 수가 다른 달과 다른 이유는 로마의 달력에서 비롯됩니다. 로마 달력에서는 10개월까지는 30일씩, 2개월(후에 1월과 2월이 추가됨)은 각각 29일과 28일로 이루어진 총 355일의 달력을 사용했는데, 이는 달의 움직임과 맞지 않아 계절과 달력의 불일치가 발생하였습니다.그 이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 달력을 개혁하여 2월달의 날 수를 28일로 유지하고, 4년마다 윤년을 도입하여 2월달에 1일을 추가하는 것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 평균 일 수를 365.25일로 유지하면서 계절과 달력의 불일치를 최소화하였습니다. 이러한 개혁으로 인해 현재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Q. 테드 창의 책을 읽어 보려고 하는데 어떤거부터 읽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테드 창(Ted Chiang)의 책은 단편소설 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야기들은 독립적인 내용과 테마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인기 있는 몇몇 작품들이 있으니, 그 중에서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언어의 선물" (Story of Your Life) : 이 소설은 외계 생명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다루고 있으며, 영화 '인터스텔라'의 감독인 크리스토퍼 놀란이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인터스텔라'의 시나리오를 쓰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생명의 끝에서" (Exhalation) : 이 소설은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미래의 세상에서의 인간의 삶과 기술 발전의 한계를 탐구합니다."온통 빛나는 벽" (The Lifecycle of Software Objects) : 이 소설은 가상 세계에서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인간 간의 감정적인 유대관계를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에 대해 탐구합니다.위의 작품들은 테드 창의 다양한 테마와 스타일을 보여주는 작품들 중에서도 특히 인기가 많은 작품들입니다. 하지만 각 소설마다 다양한 주제와 이야기가 담겨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주제나 스타일을 선택해 읽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 절치부심의 뜻은 무엇이고 그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절치부심"은 자신의 능력이나 업적에 대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안중근(1879-1910)이 남긴 유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안중근은 일제 강점기에 독립운동을 이끌던 지도자였습니다. 그는 일제의 체포를 피해 매우 깊은 산골로 숨어들어, 1910년 4월 26일 국외에서는 아직 국내에서는 대한제국의 유일한 군사기술교육기관인 평양 훈련소를 폭발시켜 일제에 대한 국민의 깨어짐과 항쟁의 확산을 노려보았습니다. 그러나 작전은 실패하였고, 안중근은 체포되어 형사재판을 받았습니다.그리고 안중근은 형사재판에서 "절치부심"이라는 말을 남겨, "나는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독립을 위해 목숨도 바쳤으며, 이러한 나의 업적이 후세에 불멸의 업적으로 기록될 것이며, 나는 나의 절치부심에 의해 살았고, 나의 절치부심에 의해 죽을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이후 안중근의 이 말이 자주 인용되면서 "절치부심"이라는 표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이제는 자신의 업적이나 능력에 대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