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내 찬공기는 바닥, 천장 어디로 공기가 위치해있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밀도 차이에 의해 온도에 따른 공기의 위치가 달라집니다.따뜻한 공기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밀도가 작습니다. 즉, 비교적 가볍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공기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게되며,찬 공기는 움직임이 둔해져 밀도가 큽니다. 즉, 비교적 무겁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공기에 비해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게 됩니다. 실내로 비교하자면, 찬공기는 바닥에 따뜻한 공기는 천장에 위치하게 됩니다. 실내 전체를 따뜻하게 하시려면 바닥이 따뜻하게 유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다에서 썰물때와 밀물때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은 육지 쪽으로 바닷물이 몰려와 해수면이 높아지는 현상이며 썰물은 밀물과 반대로 육지로부터 바닷물이 멀어지며 해수면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을 하는 동시에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도 하고 있습니다. 달은 이런 지구를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지구와 달은 모두 만유인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원심력은 원 운동하는 물체가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려는 힘으로 지구는 자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 자전 중 바깥쪽으로 향하는 원심력의 크기는 모든 방향에서 같습니다. 또한, 달과 작용하는 인력이 더해져 달이 위치한 방향으로 더 많은 힘이 작용하여 바닷물이 달 방향으로 더 많이 모이게 됩니다. 이 현상이 밀물입니다.이 때 달과 거리가 먼 지구상 위치에는 바닷물이 빠져가나는 썰물이 발생하게 됩니다.즉,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은 힘이 작용한다. 하지만, 달의 위치에 따라 달과 작용하는 인력이 더해져 바닷물이 달 쪽으로 이동한다.이에 달 쪽으로 바닷물이 쏠리는 밀물이 발생하고, 반대에서는 썰물이 작용한다.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Q. 녹조가 왜 발생하나요? 녹조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녹조는 강이나 호수 등에 남조류(산소를 만드는 세균-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성장되어 물의 색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죠. 발생 원인으로는 수온 상승, 오염 물질 유입, 햇빛량 증가, 물의 순환 정체기 등이 있습니다. 충분히 온난화로 인한 수온 변화가 대표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인간 활동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면 지구 온난화에 영향이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인간의 활동이 지금의 잦은 녹조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Q. 추워지면서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뭐죠?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외부 온도가 낮아지면 배터리 내부의 전해질도 차가워집니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의 충/방전을 담당하는 리튬 이온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며 운동력이 저하가 됩니다. 리튬 이온의 움직임 정도가 배터리 효율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배터리 효율이 낮아지게 되겠지요.영하 10도에서는 약 30%의 효율 감소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주행거리는 약 18.5%가 감소하였다고 발표되었습니다.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온도가 낮아지면 이온의 운동력이 저하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반대로, 온도가 높아졌을 때, 이온의 운동력이 극대화되어 발열이 심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유성, 혜성, 소행성등등 개념이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유성, 혜성, 소행성, 별똥별은 모두 큰 범위에서 같은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우주 공간을 떠도는 혜성 또는 소행성에서 일부가 떨어져나와 지구 중력권에 붙잡혀 지구 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유성, 별똥별이라고 부릅니다.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를 도는 천체로, 궤도가 정확히 파악된 수만 약 4천 개가 되며 궤도가 불분명한 것은 그 이상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혜성은 태양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합니다. 태양 가까이 갈수록 표면의 기체가 증발하여 꼬리모양으로 가스구름을 형성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행성크기순으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에서 태양을 제외한 행성의 크기 순으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지구, 금성, 화성, 수성 순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