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이슬기 전문가
마이크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6월 30일 작성 됨
Q.
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변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변하는 원리는 현재의 공기와 헬륨가스의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현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기는 질소 70%, 산소 20% 등으로 이루어져 목소리가 원자 등이 포함된 기체를통과하였을 때 속도가 느려 진동수가 낮아져서 저음의 목소리가 나옵니다.반면 헬륨은 일상생활의 공기보다 밀도가 7배 낮아서 목소리가 기체를 통과하는데 방해받는 요인이 적어서 소리는빠르게 통과하고 진동수는 높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목소리는 2배 이상의 높은음으로 들리게 됩니다.따라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변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참조사이트 :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4/22/2022042202003.html(IT조선 - 헬륨가스의 낮은 밀도, 목소리 변조의 비밀)
기계공학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우라늄과 플라토늄이 어떤 과학적 원리를 통해 핵무기로 만들어지는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1. 천연 우라늄을 원자로의 핵 연료봉을 통해 우라늄 235를 우라늄 238과 플루토늄 239로 변환시킵니다.2. 플루토늄은 우라늄 핵연료를 재처리 해야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폐연료봉을 재처리하여 플루토늄 239를 추출하여얻습니다.3. 이제 플루토늄을 중성자와 충돌시켜 핵분열을 일으키면 핵무기가 만들어집니다.하루 빨리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평화가 왔으면 좋겠습니다.참고사이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621175?sid=100(연합뉴스 - 플루토늄 생산 및 핵무기 제조 과정)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21017/7873410/1(동아일보 - [北 核개발계획 파문] 농축우라늄 핵폭탄은)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히스테리시스 곡선 현상을 어떻게 확인할수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히스테리시스 곡선이란 물질이 특정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할 때, 외부 자극의 크기에 의존할 뿐 아니라 물질의 현재 상태나 과거의 외부자극 이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현상의 반응 정도를 외부 자극 크기 및 방향에 대한 함수로 그림을 그렸을 때 나타나는 곡선을 뜻합니다.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의 예로는쇠에 자기장을 적용한 이후에도 자성을 그대로 갖고 있는 자기히스테리시스용수철의 탄성한계를 넘겨서 힘을 가하면 늘어난 용수철이 원래 형태로 돌아오지 않는 탄성히스테리시스현상이 대표적인 예입니다.참고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46&cid=60217&categoryId=60217(네이버 지식백과 - 히스테리시스곡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3512543?sid=110(한국경제 - 저성장보다 걱정스러운 '히스테리시스')
전기·전자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반도체에서 글라스 기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글라스기판을 만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글라스 기판을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하면1. 탑재 메모리 용량 증가2. CPU / GPU 메모리 크기 증가로 연산능력 향상3. 기존보다 얇고 전력소모가 줄어드는 패키지 생산 가능위와 같은 장점이 있어 반도체 패키징에 글라스 기판을 사용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25252?sid=105(디지털데일리 - SKC, 인텔·AMD 반도체 기판 공략 '시동')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18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측정된 소행성 중 가장 빠른건 어느정도의 속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우리 태양계에서 2022년에 발견된 소행성 ‘2022 RM4’의 이동 속도는 시속 8만 4500㎞로음속의 약 65배라고 합니다.아마 이 정도의 속도를 능가하는 소행성은 보기 힘들것입니다.그리고 소행성은 은하계를 넘나들지 못하며 우리 은하 내부에서만 존재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13243?sid=105(서울신문 - ‘세계 최고층 빌딩’ 만한 소행성 또 온다…“음속 65배 속도”)
물리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아이작 뉴턴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아이작 뉴턴은 1642년 크리스마스 날 영국 링컨셔의 울스롭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1661년 캠브리지 대학교에 입학을 했으며, 1666년 과수원의 사과나무 아래서 뉴턴의 머리 위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어떤 힘, 즉 중력이 작용하며 그 힘은 행성을 포함해 우주의 모든 만물에 적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또한 뉴턴이 유율법이라고 부른 계산법인 현재의 미적분도 뉴턴이 만들어냈습니다.한편 1672년에는 기존의 굴절 망원경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반사 망원경을 발명하였으며,1727년 3월 20일에 85세의 나이로 뉴턴은 사망하였습니다.참고사이트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7199&cid=59014&categoryId=59014(네이버 지식백과)
생물·생명
2023년 5월 2일 작성 됨
Q.
나이테의 모양이 다양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나이테는 나무의 물관들의 집합체이며밝은 부분은 춘재, 어두운 부분은 추재라고 합니다.질문하신 나이테의 모양이 다양한 이유는 봄, 여름에는 나이테가 많이 자라고가을, 겨울에는 나이테가 적게 자라기 때문입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2964123?sid=102(소년중앙 - 황경택 쌤과 자연이랑 놀자 22.나이테)
토목공학
2023년 5월 2일 작성 됨
Q.
비행기에도 와이퍼가 장착이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경비행기에는 와이퍼가 없지만 대형 여객기에는 와이퍼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참고사이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338608?sid=102(YTN - 방콕행 아시아나 여객기 회항..."와이퍼 결함")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62/0000001345?sid=103(월간 신동아 - 경비행기 마니아 진중권의 비행 예찬)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지구가 속한 우리 은하에 태양과 같은 항성이 몇개나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우리은하에는 태양과 같은 별들이 2000억 ~ 4000억개 정도 존재한다고 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82836?sid=105(서울경제 - 별들의 집합소 은하에도 구성단위가 있다[김정욱의 별별이야기](15))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인공위성 궤도별 비행 고도가 궁금합니다. 우주에서 위성끼리 안 부딪치는 게 신기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 Blazer 입니다.모든 위성은 윈 또는 타원궤도의 형태로 각 위성이 정해진 경로로 움직이기 때문에고속도로 같이 일정한 차선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참고로 저궤도 위성은 보통 고도 500㎞이상, 1500㎞이하의 궤도에서 움직이고그리고 정지궤도 위성은 약 3만6000㎞ 고도에서 움직인다고 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747743?sid=102(뉴시스 - 인공위성 서로 부딪히지 않는 이유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