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경력 18년차 미술&보육전문가 최호성 입니다.
경력 18년차 미술&보육전문가 최호성 입니다.
최호성 전문가
동심교육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유아교육
2025년 1월 23일 작성 됨
Q.
급하게 한시간정도 자리를 비울때 6살 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6살 아이를 집에 혼자 두고 급하게 한시간정도 어디를 가신다는거죠? 옆집이나 아이의 친구집 등에 부탁을 하고 1시간정도 맡기는 방법밖에 없어요. 미취학아동을 1-2시간 집에 혼자두는 것은 방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미술
2025년 1월 23일 작성 됨
Q.
지우개 가루를 이용한 예술 작품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전문가입니다.지우개 가루는 옛날 어릴적에 많이 가지고 놀았는데요 특히 미술용 지우개는 부드러워서 가루를 뭉치면 점토처럼 되어 점토공예로 사용해도 될것으로 생각합니다.하지만 많은양의 지우개 가루가 필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갑자기 아프다고 할때 여행을 강행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아프면 안가는게 좋겠지만 열이 내렸다면 오히려 아이가 더 잘놀수도 있는데 너무 쳐지거나 하면 여행을 안가야 겠지만 아이가 괜찮고 잘 논다면 가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좋은여행 되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아이와 대만에 가서 밀크티 먹여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아이와 대만가서 밀크티 먹어도 될꺼 같은데요. 대만 밀크티 유명하니까 아이와 같이 마시고 좋은 추억 많이 만드시고 즐거운 여행되시길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이불을 걷어차고 자는데 어떻게 하죠?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자꾸 이불을 걷어차고 자는군요...사실 저도 그래요ㅎ저도 어릴때부터 이불을 걷어차고 자고 해서 저희 어머니도 이불을 계속 덮어주다 보니 짜쯩도 나고 해서 안덮어줘보니 스스로 찾아서 덮고 자더라고 방금 저희 어머니께서 그냥 나두라고 하시는데 저는 너무 이불이 두껍거나 하니까 이불이 스스륵 내려가더라구요. 절대 걷어차고 잔게 아닌데ㅋ 아이가 너무 어리면 계속 덮어주시다가 한번 안덮어줘보세요. 반응을 보시다가 얇은 이불을 덮어줘보세요.
미술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지금화가라는직업가진사람들이 주로
안녕하세요. 최호성 전문가입니다.잘그려서 잘팔린다기 보다 그림을 보는 시각과 색감 감정이 그림을 딱 보면 와 닿는 뭔가가 있어요. 그래서 그림을 소장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구매를 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몇개 구매한것도 있거든요.
미술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파란색은 하늘색 남색 이런식으로 세부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전문가입니다.빨간색도 자주색 다홍색 주황색 진빨강색 진분홍색 등 세부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파란색에도 흰색을 섞으면 하늘색이 되고 검은색은 조금 섞어보면 남색 빨강과파랑을 섞으면 보라색이 되는겁니다.빨강색도 흰색을 섞으면 분홍색 빨강에 노랑을 섞으면 주황색 다홍색 등 여러 빨강색 개열의 색상이 됩니다.
미술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유명한 화가에는 누가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김홍도 신윤복 황진이의 그림들이 유명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시인들이지만 그림도 그렸으니 아마 우리나라 유명화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미술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색을 정하는 기준은 어디에서 어떤 기준으로 정하게 되어 있고, 종류는 몇가지나 있나요?
표준적인 색의 기준이라고 하면 기본 3원색은 빨강 노랑 파랑인데 여러가지의 색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검은색과 흰색을 포함시키면 여러가지 색상을 만들수 있습니다 아마 색상표는 수천가지의 색이 나올꺼고 기본색은 12색이라고 합니다. 색을 정하는 기준이라는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을 훈육할 때 벽보고 손드는 벌은 오히려 정서상 문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요즘은 벽을 보고 손을 들고 있는 벌은 거의 학대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생각의 시간을 가지게 한 후 아이에게 어떤부분을 잘못했고 반성했는지 물어보는 방법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로 이야기해주세요.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