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옥영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옥영빈 전문가입니다.
옥영빈 전문가
홍성의료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산부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피임약 휴약기 중 생리 언제 터질까요?
일반적으로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다가 복용을 중단하게 되면 약 2-4일 후에 월경을 시작하게 됩니다. 휴약기 첫날부터 생리를 시작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낮습니다.
피부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발목에 얼룩덜룩한 반점이 안 없어져요
사진의 소견만으로 정확히 어떻다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무언가 상처가 생긴 이후에 착색이 된 것처럼 보이는 소견으로 사료됩니다. 피부 착색이 된 것이 맞다면 시간이 경과하여도 호전되지 않고 그대로 지속될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합니다. 혹시 모르기 때문에 관련하여서는 피부과에 다니면서 진료 및 치료 등을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내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맹장염 위염 구분........?
일반적으로 소위 맹장염이라고 부르는 급성 충수염의 경우에는 우하복부에 통증이 구체적으로 국한되며, 해당 부위를 누르고 뗄 때 통증이 동반됩니다. 3-4일 정도 경과하였다면 해당 소견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때문에 그러한 소견이 없다면 급성 충수염의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능성이 절대 없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CT 등 정밀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긴 하겠습니다.
내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배에 가스가 찬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배에 가스가 찬 것 같다는 것은 복부팽만, 소화불량 등 증상이 있으신 상태인 것 같아 보입니다. 관련하여서는 육체적 활동을 통하여 장 운동을 촉진해주는 것이 가스 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부드럽게 복부 마사지를 해주거나 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등의 조치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이 증상 괜찮은 거 맞겠죠 좀 걱정돼요..
복통과 두통 증상이 있다는 정보만 놓고 건강 상의 문제가 있는 것인지 단순히 스트레스 등에 의한 일시적인 증상인 것인지 파악하고 감별을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고 악화되는 양상이라면 구체적으로 진료 및 검진을 통하여 병적인 소견인지 여부를 감별 받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피부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피부에 점처럼 뭐가 생겼는데,, 점인가요??
비특이적인 피부 소견인데 해당 사진만 놓고 정확히 무어라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사진을 통해서 보았을 때에는 단순 색소 침착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양성 소견일 것으로 사료되긴 합니다. 피부암 등을 의심하기에는 강력하게 의심되는 소견들이 따로 있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안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눈동자가 너무 몰려있는데 이것도 사시인가요?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특히 두 번째 사진처럼 보인다면 사시의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어 보입니다. 관련하여서는 혼자서 고민을 해보았자 답이 나오지 않으며 구체적인 상태 감별을 위해서는 진료 및 검진일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과적으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이비인후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혀 측면 통증 때문에 문의 드립니다 혹시 문제있을까요?
사진의 소견 및 글의 단편적인 내용만으로 큰 문제인지 어떤지 판단을 내리기 어려우며 구체적인 감별 진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단순 혓바늘 같은 문제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이긴 합니다. 관련하여서는 통증이 거슬리고 참기 어려운 정도라면 이비인후과적으로 한 번 진료 및 검진을 통한 상태 감별 및 치료를 받아보는 것도 괜찮은 생각이 될 수 있겠습니다.
비뇨의학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남성 성기에 난 점이나 쥐젖 제거하려면 어느곳 가야하나요
아무래도 성기 부위에 발생한 병변인 만큼 일반적으로는 피부과로 가시기 보다는 비뇨의학과 쪽으로 가셔서 진료를 보고 제거를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피부과에서는 제거가 어려울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정형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양쪽 무릎 인공인대 수술 후, 마라톤 해도되나요?
무릎이 안 좋은 사람이 절대로 달리기를 자주 하면 안 된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 올바른 자세라고 부담이 가지 않는 강도로 할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거나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달리기 운동은 충분히 무릎에 부담이 갈 수 있는 운동이긴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부분에 해당하기는 하겠습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