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토목공학에서 구조물이란 무엇을 의미하며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도현 전문가입니다.굉장히 원초적이면서도 광범위하며, 구조개념의 근간이 되는 심오한 질문입니다. 그래서 더 잘 답변드리고 싶은 질문입니다.구조물별로 설명하면 한 해 강의는 족히 되기때문에 한가지 키워드로 정의드립니다.바로 '하중'댐과 하천보는 물을 막고있고(유체하중), 교량은 주로 차들이 쉴새없이 다닙니다(활하중). 초고층 건축물은 1층과 꼭대기층의 횡하중 양상이 매우 다릅니다(풍하중, 지진하중).이러한 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가, 이것이 건축,토목 구조공학의 역할입니다(허용응력설계,한계상태설계).고인이 되신 이선균씨가 출연했던 '나의 아저씨'에서 했던 대사 '건축은 외력과 내력의 싸움이다' 가 이를 함축하고 있는 좋은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는 전문적이면서 세련된 표현이었습니다.이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땅 꺼짐 현상은 왜 일어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도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 싱크홀을 지칭하시는건지 모르겠는데요.여러 가정이 있다는것은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해야만 그 현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또 오차율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거같습니다.제가 생각하기로는 전제를 두 가지로 놓고 구분하는 것이 맞을거 같습니다. 바로 싱크홀 주변 지반에 인위적인 변화가 있었냐 없었냐입니다.먼저 인위적인 변화란 건축물 기초공사, 터널공사, 상하수도, 가스공사 등입니다. 이들은 지반에 많은 진동과 침하, 그에 따른 변위를 발생시킵니다.요즘은 전기도 지하화하죠. 한국전력이 전기회사인지 토목회사인지 헷갈릴 정도로 파재끼고 있습니다. 이 모든것들이 지반에 영향을 줍니다.두번째 경우로 싱크홀 주변에 위의 변화가 없었을 때인데 이는 주기적인 크고 작은 지진에 의해 매립층에 에너지가 가해지고 점차 내부에서 변위른 일으켜 한 쪽이 무너지면서 지반 한 가운데 동공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 또한 오랜시간 추적이 필요한 가설일 뿐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민이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Q. 아빠는 A형 엄마는 B형인데 O형인 아이가 태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도현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액형은 각각 두 혈액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AA AO BB BO OO AB여기서 AO, BO형은 우성인 A,B형으로 나타나구요. 이 A형과 B형 사이 또는 같은 A형끼리, B형 끼리 자녀를 가졌는데 자녀가 O형이라면 그 둘은 반드시 AO, BO형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