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리가붓고 실핏줄이 보이면 하지정맥류 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미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 하신 내용은 모세 혈관 확장증입니다. 다리의 발목이나 종아리, 그리고 허벅지 피부에 가느다란 실핏줄이 거미줄 모양으로 울긋불긋하게 엉켜서 도드라져 보이는 경우가 있다.이 같은 증상은 전신 어디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얼굴이나 다리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바로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a)’일 수 있다.모세혈관(capillary)은 가느다란 동맥을 뜻하는 세동맥과 마찬가지로 가느다란 정맥을 뜻하는 세정맥을 연결하는 0.1~ 1mm 미만의 아주 가는 혈관이다.모세혈관은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에 그물처럼 얽혀있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 영양분 그 외 노폐물 및 여러 가지 물질을 교환하는 기능을 한다.모세혈관확장증은 모세혈관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늘어나 혈관이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일반적으로 모세혈관확장증, 세정맥확장증, 망상정맥류는 혈관이 울룩불룩 튀어나오는 분지정맥류나 정맥간 정맥류와 같은 일반적인 하지정맥류로 발전하지는 않는다.발생 기전이 다르기 때문으로 모세혈관확장증, 세정맥확장증, 망상정맥류 등은 심부정맥의 압력이 높아 혈관이 확장된 상태이며, 분지정맥류나 정맥간 정맥류와 같은 하지정맥류는 정맥내의 판막 이상이 그 원인이다.하지만 모세혈관확장증은 다른 하지정맥류와 동반돼 생기는 경우가 많고, 정맥류를 일으키는 혈관과 직접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람보다는 하지정맥류가 발생하기는 쉽다.
Q. 얀센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차이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미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두백신모두아데노 바이러스 벡터 방식을 쓰는 원리는 같습니다. 얀센은 아데노바이러스26형(Ad26),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5형(Ad5)을 운반체로 쓴다는 점은 다르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백신의 효능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두개의 백신모두 혈전 위험성이 있습니다.아데노 벡터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8일 사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발생 ① 지속적이고 심한 두통, 국소 신경학적 증상·발작·흐릿한 시야·복시 ② 호흡곤란 또는 흉통, 등의 통증, 복통 ③ 사지 부종 ·발적,·창백 또는 차가움 ④ 작은 멍이나 자반, 소혈종(blood blister) 또는 비정상적인 출혈(unusual bleeding)예방접종 후 이렇게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이 있는 경우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그 위에 냉찜질 하세요. ○ 예방접종 후 미열이 있는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 예방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으로 불편함이 있는 경우 해열진통제를 복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예방접종 전에 미리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를 준비하고, 예방 접종 후 몸살 증상이 있으면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세요.
Q. 얼굴과 눈두덩이가 심하게 부어오르는것이 건강에 이상 신호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미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얼굴부종은 크게 혈액순환 저하야식 섭취,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 신장 이상이나 갑상선 호르몬 부족 , 간질환, 약물등에 의해서 부종이 생길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내과를 가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트리거핑거(방아쇠수지)치료법?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미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방아쇠 수지의 치료 방법은 증상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됩니다. 정형외과가시면 됩니다.1. 비수술적 치료법1)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 손가락의 잠김과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2) 약물 치료와 물리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증상이 더 심해지면 스테로이드 주사를 염증 부위에 놓아서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을 때 피부의 위축, 피부의 변색, 힘줄의 퇴화와 파열, 바늘에 찔릴 때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등을 받았음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반복적인 주사 치료는 부작용과 합병증의 위험성을 높입니다. 이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수술적 치료법1) 손바닥에 1cm 정도를 절개하고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를 열어 주는 간단한 수술입니다. 수술을 하면 힘줄이 지나는 동안 통로에 마찰이 사라지면서 염증이 없어집니다.2) 오랫동안 손가락 중간 마디를 잘못 펴는 경우, 관절에 무리가 가서 수술 후에도 통증이 오래 계속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