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매일 잠을 잘 못자는데 어디 병원을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장애시에는 의사 진단하에 약물처방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그외에도 수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약물처방의 경우에는 정신건강의학과 혹은 가까운 의원(가정의학과)등에서 처방은 가능합니다. )매일 규칙적인 운동(자기 직전의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수면에 방해가 됩니다.), 커피 및 콜라 등의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을 자제할 것, 금주 및 절주, 침실을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기(눈가리개, 귀마개 등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기 전에 핸드폰 등을 사용하지 않기 등이 수면환경 개선에 해당됩니다.때로는 인지치료 등도 고려하기도 합니다. 상담을 통해 수면일지를 기록하기도 하고호흡을 통해 근육이완을 연습하기 등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혹은 가정의학과 등의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 하루속히 수면장애가 해결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는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야간뇨 때문에 고생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야간뇨란 밤에 잠을 자던도중 요의로 인해 깨서 화장실을 자주 가게되는 것을 말하며,원인은 다양합니다.약물,감염,자기전에 물을 많이 먹는 등의 행동, 까페인,알코올(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뇨,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과민성 방광일 경우에도 야간뇨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평소 물을 자기전에 많이 먹거나 자기 전 까페인이 많이 들어간 음료를 마시는 행동이 원인이 될 경우에는자기전에는 물을 제한, 평소 까페인 음료 섭취 줄이기 등을 통해 야간뇨의 증상을 조절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호전이 없을 경우, 이에 맞는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소변검사, 방광경 검사, 요역동학적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감별해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비뇨의학과 등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 하루속히 야간뇨 증상이 호전되시길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두통이 있으면 무슨 진료과에 진료를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두통의 흔한 원인으로는 긴장형 두통, 편두통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주로 아침보다는 저녁에 발생하며, 목과 어깨 근육 통증이 동반되면서 발생하는 두통일 경우 긴장형 두통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두통 발생 전 전조증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 편두통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급성기에는 경미한 두통일 경우에는 약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반복적인 두통에 대해 지속적인 약물 복용시 오히려 약물에 대해 약물과용두통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으며, 스트레스,카페인,흡연,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두통에 있어 갑자기 평소보다 심한 양상의 통증, 신경학적 증상(말 어눌함,힘빠짐 등)등이 동반될 경우에는 반드시 즉시 가까운 응급실을 통해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뇌출혈 등의 위험한 두통이 의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반복적이며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로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치료를 찾는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두통의 경우 대학병원, 종합병원에서는 전문적으로 주로 신경과에서 진료를 보고있습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경과 등의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하루속히 두통이 치료되시길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crps가 정확히 어떤 질병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CRPS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을 의미합니다.대부분 외상이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상치료가 끝난 이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통증이 과민반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신경,조직등의 손상이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자율신경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CRPS환자분들의 경우,일반적인 통증보다 더 감각이 과민하게 나타나며, 스치는 아주 작은 자극에도갑자기 통증이 심하게 느낄 수 있으며 마약성 진통제에도 쉽게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치료는 마취통증의학과 등에서 약물요법 및 신경차단술 등 여러가지를 통해 치료를 도모하기도 합니다.조기 치료할 경우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고는 하나,아직까지 명확히 정립된 치료방법은 없으며 다각도로 접근하여 치료하고 있습니다.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마취통증의학과 등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심한 두통 매일 시달려요. 전문적인 치료 어디서 받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지속적인 두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으실 정도로 힘드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럴경우에는 반드시 두부 영상학적 검사 및 신경과 외래 진료를 통해 원인 등을 감별해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두통의 흔한 원인으로는 긴장형 두통, 편두통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주로 아침보다는 저녁에 발생하며, 목과 어깨 근육 통증이 동반되면서 발생하는 두통일 경우 긴장형 두통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두통 발생 전 전조증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 편두통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급성기에는 경미한 두통일 경우에는 약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반복적인 두통에 대해 지속적인 약물 복용시 오히려 약물에 대해 약물과용두통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으며, 스트레스,카페인,흡연,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두통에 있어 갑자기 평소보다 심한 양상의 통증, 신경학적 증상(말 어눌함,힘빠짐 등)등이 동반될 경우에는 반드시 즉시 가까운 응급실을 통해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뇌출혈 등의 위험한 두통이 의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반복적이며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로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치료를 찾는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경과 등의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하루속히 두통이 치료되시길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갑자기 눈이 뱅글뱅글 돌고 어지러웠어요.뭘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빙글빙글 도는 듯한 증상이 있으신 것으로 보아 현훈이 의심이되며,원인은 크게 말초성 현훈, 중추성 현훈으로 볼 수 있습니다.말초성 현훈의 경우 우리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귀의 문제로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누워있다가 갑자기 고개를 돌릴 경우, 빠르게 천장이 돌면서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이런 경우 이석증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중추성 현훈의 경우 이는 뇌졸중을 포함한 우리몸의 중추신경계 이상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데, 어지러움과 함께 보통 편측 마비 균형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도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젊은 분들의 경우 어지러움 원인이 말초성 현훈일 가능성이 높을 경우가 많으나, 어지러움만 호소하시는 경우에도(운동장애 및 감각장애 등이 없는 경우) 뇌 영상검사상 뇌경색 및 뇌출혈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반드시 가까운 병,의원을 내원하여 정확한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료를 받으셔야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이비인후과,신경과 등 가까운 병,의원을 통한 대면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