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이 세계적으로 유명한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러시아의 발레는 역사와 전통, 실력이 있었지만 주 소비층이 있던 유럽에서는 과거에는 그렇게 유명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서유럽에서 발레가 쇠퇴하던 20세기 초에 예술평론가이자 공연기획자, 후원자였던 세르게이 댜길레프가 1909년 프랑스 파리에서 '발레 뤼스 (Ballet Russe)'를 창단하였습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프랑스어로 러시아 발레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새로운 발레단을 창단한 댜길레프는 뛰어난 안목으로 당시에는 무명이었으나 실력이 뛰어났던 작곡가 스트라빈스키와 프로코피예프, 무대 미술의 혁명을 이룬 브누아, 피카소 & 마티스의 세트 디자인, 코코 샤넬의 의상 등 각계 최고의 예술가를 발굴하여 모더니즘에 모든 것을 걸었습니다. 거기에 빠르고, 높고, 강하고, 관능적인 러시아 남자무용수를 앞세워 파리의 관객들을 열광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점점 더 러시아 발레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게 되었고, 발레 하면 러시아로 전세계인들에게 각인되게 되었습니다. 예전부터 전통적으로 볼쇼이 발레단, 마린스키 발레단은 역사와 전통이 있었고, 이후 러시아 국립발레단, 모스크바 라 클라시크 발레단도 그 명맥을 이어갔습니다. 말씀하신 마린스키 발레단은 상테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 소속으로 241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 5대 발레단입니다. 20세기 러시아 발레를 대표하는 안무가 유리 그레고로비치가 30년간 수석 안무가로 활동하며 발레를 러시아 문화의 대명사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일부 단원들이 탈퇴하여 논란이 있었다고 합니다.
Q. <우리>와 <우리들>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우리'는 복수의 의미가 있는 인칭 대명사이고 '-들'은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인칭 대명사에 복수를 나타내는 '-들'이 붙어 '너희들, 우리들, 저희들'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명사의 복수형을 나타낼 때 '~들'을 붙이기 때문에 이것이 문법적으로 이를 잘못되었거나 다른 뜻의 말이 아닌가 의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국어는 수의 범주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여, '-들'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붙는 경우가 있는데 문법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라는 복수 인칭대명사인데 중복되게 '~들'이라는 복수 접미사가 붙어 중복되는 의미가 되었지만 그 의미는 '우리'와 같은 의미입니다.
Q. 춘향전에서 변사또와 춘향이의갈등이 당시 어떤점을 비판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춘향전은 몽룡과 춘향의 변치 않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지만 그 내용마다 사회적 풍자도 들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사또라는 인물은 권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것을 얻으려는 파렴치한으로 묘사됩니다. 고전에는 춘향이 단순 기생의 여식으로 신분상 기생 천인에 해당된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후대에 재구성된 내용에서는 사실상 춘향은 그의 모친이 기생이었으나 부친이 참판 벼슬을 한 양반이었기에 이름만이 아닌 성씨를 부여하여 성춘향이 되었고, 양반의 서자이므로 평민 이상 양인까지로 추측됩니다. 당시 법적으로 관리들의 기생 수탈이 금지되어있었으나 나쁜 관행으로 지방 수령들이 기생의 수청을 요구하는 등 파렴치한 행위들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변사또는 춘향에게 수청을 강요하였고 거부하자 형장을 내리나 춘향은 굴복하지 않고 변사또에게 항변을 쏟아내는데 그 노래가 '십장가'입니다. 이것은 당시 부패한 권력의 폐해를 비판하며 춘향을 통해 국민들의 권력에 대한 저항의지가 강하게 담겨있습니다. 조선이 망했을 때 조선의 국민들은 나라 잃은 것은 안타까워했지만, 조선이라는 나라가 없어진 것을 슬퍼하지 않았고, 왕과 노예제가 없어진 것에 대해 되려 환영했다는 것에서 얼마나 권력층에 대한 반감이 심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