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부께서 리눅스와 유닉스를 말씀하신 이유는 현업에서는 윈도우 잘 사용하지 않는 분야에 계시기 때문일겁니다.
저 역시 윈도우 환경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실제로 요즘 실무는 x86 서버들에 리눅스를 올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윈도우 환경을 사용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이모부께서 이야기 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드렸습니다.
컴공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아 컴퓨터공학과 대학생이시거나 대학 진학을 앞두고 계신 것 같은데.. 아닐 수 도 있으시겠지만 가정을하고 말씀드릴게요.
짧은 소견을 드리자면 지금부터 리눅스를 공부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다양한 툴을 가지고 가능한 많은 예제를 코딩해보세요.
언어의 종류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중요한 건 로직을 어떻게 짜느냐를 익히는 것 입니다. 언어는 그저 내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걸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굳이 추천드리자면 자바나 파이썬을 들 수 있겠네요.
어차피 리눅스는 학년이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다루게 되어 있습니다. 과제나 프로젝트를 통해서요.
덧붙여서 우선 기본에 충실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대학의 간판이 아니더라도 커리큘럼이 탄탄한 곳에 가서 기본정규과정을 밟는 것이 좋습니다.
현업에서 일하다 보면 학부 때 이런걸 왜 하나 싶었던 것들이 예상치 못하게 어렴풋이 생각나며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물론 아닌 것도 있지만요..
여기서 말하는 기본에는 기초수학 영어부터 논리회로 컴퓨더구조 운영체제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엄청난 실력을 키우라는 것은 아닙니다만 내가 뭘 배웟었고 지금 이 상황에서는 뭘 활용해야 할 지를 익히라는 이야기입니다.
영어는 기업을 목표로하신다면 어학점수가 필수겠지만 혀만업에 있다보면 구글링을 통해 알아보는 경우가 많은데 git과 과 같은 곳이나 레퍼런스는 영문이 많아 그걸 해석할 정도는 하시는게 좋습니다.
더 말씀드리고 싶은데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한 유튜버가 있어 링크 올려드리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친분 없는 분입니다.)
https://youtu.be/jz21feywg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