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두껍아 두껍아 헌집다오 새집 줄게'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옛날에 두껍아 두껍아 헌집다오 새집 줄게 라는 구절이 있는데요,
여기서 왜 헌집을 주면 새집을 준다는 말이 나오는거죠?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두껍아 두껍아는 하국의 전래 동요로 기원을 알수 없이 예로부터 전해지는 노래입니다.
기록상으로 처음 1935년 심훈이 발표한 소설 상록수에서 등장합니다.
두꺼비는 집지킴과 재복의 상징으로 이에 두꺼비에게 헌집을 가져가고 새집을 달라고 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전래 동요로, 기원을 알 수 없이 예로부터 전해오던 노래입니다. "두껍아 두껍아 헌집줄게 새집 다오"로 시작되는 가사는 어린이가 모래로 모래집을 지으면서 일어 남직한 내용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역사적인 문헌상의 기록으로는 처음 1935년 심훈이 발표한 소설 《상록수》에서 등장한다. 작중 영신이 어린시절을 떠올리며 모래로 성을 쌓으며 "두껍아 두껍아 헌집 주께 새집 다구"라는 노래를 부른다는 장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