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꾸준한개미핥기203
꾸준한개미핥기20321.04.01

종아리 보톡스를 맞아 보신 분 어떠셨나요

종아리 보톡스를 맞으려고 지금 생각 중인데요 제가 종아리가 알이 배겨가지고 아무리 운동을 해도 매끈한 종아리가 될 수가 없더라고요 그래서 종아리가 못생긴 편이라 마지막 결정이 보톡스를 맞아보려고 생각했거든요 보톡스를 맞으면 효과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톡스는 근육의 활성은 낮춰줌으로써 근육의 양을 줄여주는 기능을 합니다.

    보톡스를 맞았을경우 종아리를 상대적으로 얇게 유지할 수 있지만 근육의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걸음걸이가 어색해 진다거나 심하면 가만히 서있다가 쓰러지는 경우도 생길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톡스는 근육에 주사하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막아 근육 움직임을 일정기간 완화시킵니다. 따라서 근육 움직임이 완화되면 관련 부위 근육이 점점 쇠퇴하여 근육량이 줄어들 수 있어 일부 근육비대에서 나오는 안면 비대칭이나 턱관절에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이밖에도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대로 종아리에 보톡스를 맞게 되는, 이는 과도한 근육에 의해 다리 모양이 예쁘지 않은 경우에 주로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특별한 부작용은 존재하지 않으며 꾸준히 맞는다면 다리 모양이 매끈해지거나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사람마다 약간의 편차는 존재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성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톡스(Botulinum Toxin) 는 신경독소 중의 하나인데 원래는 독성이 굉장히 강한 독소인데 이를 희석하여 의료적인 목적으로 보톡스 주사를 놓게 됩니다.

    이 독소는 세포단위에서 신경전달문질인 아세틸 콜린의 방출을 방해해서 조직으로의 신호 전달을 막아 작용을 멈추게 하는데, 근육이나 땀샘 등의 기능이 마비가 되는 원리를 의학적으로 이용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보톡스는 근육의 마비에 특화시켜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흔히 턱보톡스나 이마 보톡스가 가장 흔히 알려져 있는데 종아리 보톡스나 승모근 보톡스로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침샘이나 땀샘에의 작용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이용한 주사요법도 있기도 하죠.

    위의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효과는 약 3-4개월 가량 지속되는데 이후에는 마비가 풀려서 근육의 작용이 다시 이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후 다시 근육의 운동이 시작되면서 볼륨이 살아나게 되죠. 근육의 벌크 혹은 볼륨이 주사 맞기 전정도로 회복되는데에는 약 6개월 정도 걸리기 때문에 6개월 정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맞으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후유증으로는 미용에 사용되어지는 용량이 워낙 소량이라 큰 부작용은 없는데 잦은 주사는 내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즉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이상 보톡스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