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기군에는 한족도 들어갈 수 있었나요?
청나라의 누르하치가 만들었다고 알려진 팔기군은 청나라시기에 지배계급으로 있었는데 이 팔기군에는 만주족이외에 한족도 들어가는것이 가능했나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기군은 후금을 건국한 누르하치가 조직한 군사제도입니다. 팔기군은 8가지 색갈의 깃발을 기준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깃발은 각 깃발은 구사(旗)라고 불렸습니다. 편제는 매 300명 단위로 하나의 우록 (牛錄)이 구성되고 5개의 우록으로 하나의 갑라(甲喇)가 구성됩니다. 5개의 갑라로 다시 하나의 고산 (固山)을 구성하였는데 고산의 장이 바로 기주 즉, 한개 기의 장이었습니다. 그러니까 한개의 기내에는 대략 7500명의 군사가 편제되어 있떤 것이었고 8기의 총수는 이렇게 계산하여 대략 60000여명정도로 추산 할 수 있습니다.
구사(旗)는 영토가 넓어지면서 만주 팔기군을 중심으로 몽고팔기, 한족팔기으로 나뉘어 총 24개의 구사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만주족 이외에 몽고와 한족으로 구성된 팔기도 존재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나라의 군사제도였던 팔기군은 이들을 색깔로 구분했는데 깃발은 남색 황색 백색 홍색 4가지 색을 가지며 깃발 전체가 단색인 정람기 정황기 정백기 정홍기와 깃발에 홍색 테를 두른 양람기 양황기 양백기 양홍기 총 8개 깃발이 있어 팔기라고 했습니다. 청나라가 중국 대륙 전체를 획득한 이후에는 팔기 제도가 사회 계층 집단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팔기만주 팔기몽고 팔기한군이 편성되었습니다. 8기의 깃발마다 보통 황족인 기주의 휘하에서 만 몽 한 서열로 배속되어 군단별로 움직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기군은 1601년 태조 누르하치가 여진족 각 부족의 부대를 깃발로 구분하는 군단으로 재편한 것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이후 만주족이 내몽골 고원으로 진출하면서 바요트 등의 내몽골 거주 할하계 부족들, 투메드, 차하르, 오르도스 등 내몽골의 몽골인 부족들도 이 시스템에 편입되었고, 요동을 함락하면서 한족도 이 제도로 편입시켰다고 합니다. 이때 만주족으로 구성된 원조 팔기를 팔기만주, 몽골인은 팔기몽고, 한족은 팔기한군이라 칭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한족 등을 포함하여 몽골인, 만주족 모두
팔기군에 들어갈 수 있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