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차근이
차근이24.04.10

일본 금리가 제로금리에 가까운 이유가 궁금하네요?

일본 금리가 제로금리에 가까운 이유가 궁금하네요?

사실상 일본보다는 미국이나 몇몇 다른국가가 더 잘살고 한데 미국보다도 일본이 금리가 더 낮던데

제로금리에 가까운 이유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일본이 부동산 버블이 꺼지면서 소비와 투자가 크게 줄어든 탓에 일본의 경제는 침체를 극복하지 못하였습니다.

    • 이를 극복하고자 제로금리 정책을 펼쳤고 30년만에 긴터널을 지나고 그 성과를 맛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금리가 제로금리로 유지가 되었던 것은 일본의 잃어버린 경제와 관련이 있는데, 일본은 부동산과 펀드버블 이후에 소비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유동성 함정에 빠져서 소비가 살아나지 못하다 보니 금리를 제로금리로 맞추어 소비를 늘리고자 현재까지 금리 수준을 유지하였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제로금리 수준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장기 디플레이션

    일본은 1990년대 버블경제 붕괴 이후 만성적인 디플레이션(물가하락)에 시달려왔습니다. 이에 일본은행이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하해 통화정책을 완화시켰습니다.

    2. 저성장 기조

    디플레이션과 더불어 일본 경제는 장기간 저성장 국면에 머물렀습니다. 이에 금리인상이 성장에 부담이 된다고 판단, 저금리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3. 과잉부채 해소

    금리를 인상하면 정부와 기업의 막대한 부채상환 부담이 커집니다. 이를 우려해 일본은행은 장기간 금리인상을 자제해왔습니다.

    4. 엔화 강세 억제

    높은 금리 수준은 외국인 투자자금을 일본으로 유인해 엔화가치를 높입니다. 일본은 수출중심 경제를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 엔고를 억제해왔습니다.

    반면 미국 등 주요국은 일본보다 경기회복세가 강했고 금리인상 여력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보다 금리수준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본도 물가상승 압력에 따라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시사하고 있어, 제로금리 기조에서 벗어나는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초저금리를 유지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