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금을 24K 로 표기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순금을 24K 그리고 순도가 낮은 것은 18K, 14K로 표기하는데 이렇게 순금을 24K로 표기한 이유는 무엇이며 전 세계적으로 같이 사용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입니다.
순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K는 (karat)의 약자이며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기입니다
안녕하세요. 공정한개리18입니다.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우리에게 익숙한 퍼센트(%)가 아니라 캐럿(carat)이다. 그래서 순금을 표시할 때는 24K로 나타내고, 불순물이 섞인 금은 18K와 14K로 표시한다. 금의 단위로 익숙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만 왜 숫자 24를 사용했는지는 궁금하다. 숫자 100으로 표시하면 계산하기 좋을 텐데, 왜 24를 사용했던 것일까? 캐럿은 중동지역에서 나는 식물의 한 종류인 ‘캐럽’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캐럽은 콩과 식물인 세로토니아속에 속하는 나무열매인데, 그 꼬투리 하나의 무게가 1.25g이다. 이 지역 사람들은 말린 캐럽을 한 손에 쥔 정도를 기준으로 금이나 소금 등의 물건을 교환했다. 캐럽이 무게를 재는 기준이 됐던 것. 캐럽은 보통 어른의 손으로 쥐면 24개가 잡히는데, 순도가 가장 높은 99.99%의 순금을 24K라고 표시하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유래했다. 18K는 18/24의 순도이므로 75%가 금이고, 나머지 25%는 은이나 구리 등 다른 금속이 들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14K는 58.5%의 금이 들어있다는 것으로 보석장식품, 시계, 만년필 펜촉 재료 및 치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안녕하세요. 인자한땅돼지150입니다.
옛날 당시 성인이 손으로 캐럽 열매를 쥐면 보통 24개가 잡혔다고 하는데요. 순금을 24K라고 표현하는 것, 바로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