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중 실업률갭이라는 단어는 어떤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단어인가요?
중앙은행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할때 참고하는 요소중 하나가 실업률갭이라는 글을 봤는데요 유추되기론 현재의 실제실업률과 통계치의 실업률의 갭정도로 예측이되는데 정확치 않아서 전문가분들께 실업률 갭의 의미를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갭(unemployment gap)은 실제 실업률과 잠재적 실업률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잠재적 실업률은 자연실업률(natural unemployment rate)이라고도 하며, 일자리 수요와 공급의 조화가 이루어졌을 때의 실업률을 말합니다. 즉, 경제가 건강하게 운영될 때에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일부 실업이 존재하며, 이를 자연실업률이라고 합니다.
실업률갭은 경제가 고용과 생산력을 균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만약 실제 실업률이 잠재적 실업률보다 낮다면, 이는 경제가 고용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실제 실업률이 잠재적 실업률보다 높다면, 이는 경제가 고용을 불안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갭이라는 것은 실업률과 자연실업률의 차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는 시장에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는 곧 향후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에는 노동공급 여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업들이 인력을 잡기 위한 높은 인금인상을 제시하게 되면서 '임금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상승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실업률 격차는 실제 실업률과 경제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생성하지 않고 완전 고용 상태로 작동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비율인 "자연" 또는 "균형" 실업률 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실업률 갭은 중앙은행이 노동시장의 느슨함 또는 초과 능력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차례로 인플레이션 압력과 통화 정책 조치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음의 실업률 격차(실제 실업률이 자연실업률보다 낮음)는 노동 시장이 타이트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유발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