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정 장기간 복용 문제없나요?
비잔을 4년 정도 먹고 있어요.
두근거림이랑 숨안쉬어지는 증상이 있는데
한번 숨안쉬어지기 시작하면 심할때는 당장 죽을것같고
그게 아니라도 어떨때는 2~3시간정도 지속되어 몸에 힘이 하나도 없이 축늘어집니다.
답답한건 말할것도 없구요.
담당 의사쌤에게 증상 말하긴 했는데 강력하게 어필한게 아니라서(두근거린다 숨쉬기 힘들다 정도)신경안쓰시는것 같아요..
한달 휴약 하면서 “증상이 좋아진것 같긴한데 여전히 두근거린다”하니까 약 계속 먹으라고 하셨어요.
비잔 부작용중에 혈전이 있다면서요? 어제 처음 알았는데
비잔을 저처럼 오래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비잔정을 복용시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부작용은 등 및 허리 통증입니다. 또한 사지 통증이나 근육 경련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혈전증에 대해서는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며 현재 증상과는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어떠한 약이라도 장기간 복용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나 주기적으로 주치의 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될 부분은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비잔정의 경우 자궁내막증이 있는 분들에게 사용하는 약입니다.
디에노게스트(미분화) 2mg 라는 호르몬제이기 때문에
병원 원장님의 소견하에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우선 현재 겪고 있는 불편감이 복용하고 있는 약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인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약복용을 중단후에 증상이 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 증상이 사라진 후 다시 약을 복용시에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으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높기에 처방의를 재방문하시어 약물 부작용을 이야기 하고 약물을 변경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비잔정의 경우 호르몬제로 혈전 부작용 우려가 있으나 현재 자궁내막증으로 의사의 판단하에 복용이 필요로되는 경우는 복용이가능하며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복용 지속여부를 결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 심혈관계 부작용은 체크하셔야 합니다
비잔 부작용중에 혈전이 있어서 복용자는 금연이 필수 입니다
----------------------------------------------------------------------------------------------------
1 ) 이상반응은 이 약 투여 첫 1달 동안 더 빈번하였으며 투여가 계속되면서 감소하였다. 점상출혈, 불규칙출혈, 무월경과 같은 월경 양상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이 약의 투여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두통 (9.0%), 유방 불편감(5.4%), 우울한 기분(5.1 %), 여드름(5.1%) 이었다.
3) 이 약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의 대부분에서 월경 양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월경양상은 환자일지를 근거로 WHO 90 days reference period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약의 치료 첫 90일 동안 관찰된 출혈 양상은 다음과 같다 (290명): 무월경(1.7%), 드문 출혈(27.2%), 빈번한 출혈(13.4%), 불규칙 출혈(35.2%), 지속된 출혈(38.3%), 정상 출혈 및 기타 (19.7%).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비잔과 같은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 대표적인 부작용이 골밀도 감소/위장장애/혈전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비잔정 복용 중단하는 것이 최우선이며, 심전도나 엑스레이/피검사를 진행하여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슴통증 심하게 생기면 복용중단하는 것이 맞으며, 의사에게 강력하게 말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비잔정은 디에노게스트라는 프로게스테론 성분의 호르몬제입니다. 관련 논문을 찾아보았으나 96주까지 복용한 경우만 찾을 수 있었고 4년 이상 복용한 경우에 대한 자료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96주까지는 비교적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었으나 혈전증의 위험성이 매우 높았습니다.
2. 호소하시는 증상이 혈전증의 증상이긴 합니다. 담당의사와 면밀히 상의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