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우리나라는 언제 이어도의 존재를 알았나요?

이어도는 여러 사연이 많은 곳으로 알고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이어도라는 곳을 언제부터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어도는 1900년에 영국 소속 무역선인 소코트라 호가 이 암초에 좌초되면서 최초로 식별되었으며 1984년, 소위 '이어도 실재론'에 따른 현장 조사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가 이곳을 탐사한 뒤 소코트라 암초와 같은 암초를 발견하고 이를 '파랑도'로 불렀으나, 1980년대 후반 민, 관에서 '이어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 이름이 공식 명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최남단 마라도로부터 남서쪽으로 80해리(1해리=1.852km), 즉 149km 떨어진 해역에 자리 잡은 이어도는 동서 1.4km, 남북 1.8km 에 이르는 타원형의 수중 암초입니다. 주변 해역의 평균수심은 50m이지 만 이어도의 정상은 해수면으로부터 4.6m 아래에 잠겨 있어 파도가 심할 때면 해수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납니다.

    옛 제주도 사람들은 이 섬을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전설이 있었습니다. 이 섬은 원래 구전되는 전설에 따르면 바다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 어부들이 가는 섬, 어부들이 죽으면 가는 환상의 섬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어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서남쪽 동중국해의 대륙붕에 위치한 주중초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암초입니다. 1900년에 영국 소속 무역선인 소코트라 호가 이 암초에 좌초되면서 최초로 식별되었습니다. 이에 영문 명칭은 소코트라 호의 이름을 딴 소코트라 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어명 쑤옌자오 역시 옌자오는 한자 그대로 바위 암초라는 뜻이고 쑤는 socotra의 첫 음절을 음역한 것이므로 영어명을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어도는 1900년에 영국 소속 무역선인 소코트라 호가 이 암초에 좌초되면서 최초로 식별되었다. 이에 영문 명칭은 소코트라 호의 이름을 딴 '소코트라 락(Socotra Rock)'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어명 쑤옌자오(苏岩礁) 역시 '옌자오'는 한자 그대로 '바위(岩) 암초(暗礁)'라는 뜻이고, '쑤'는 Socotra의 첫 음절을 음역한 것이므로 영어명을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51년, 대한민국 해군과 한국 산악회가 '대한민국 영토 이어도'라고 새겨진 동판을 던지고 왔다고 하나, 신빙성이 낮다. 당시는 6.25 전쟁 당시였고, 심지어 제주도에선 아직 4.3 사건이 현재진행형이던 상황이었다. 게다가 지리를 보면 알겠지만 마라도와도 당시 뱃길로 10시간 이상 떨어진 거리이다. 한국 산악회 홈페이지를 보면 '전설의 파랑도 답사'라고 되어 있기는 하나, 정확히 현재의 이어도를 가리키고 있는 것인지는 확인하기 힘들다. 1952년에는 이승만이 선포한 평화선이 북위 32도를 기점으로 그어지면서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