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4.04.21

이방원은 어떻게 조선의 왕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계의 아들이 8명이었는데 그중 막내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했잖아요~ 근데 그도 안되고 정종이 왕위에 올랐잖아요~ 근데 정종의 자식이 아닌 이방원이 어떻게 조선의 왕이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은 리더십이 있는 인물이었기에 일찍이부터 자기의 세력을 모아 왕자의 난을 통한 정권 장악으로 왕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1392년 건국한 나라로 후계자 문제로 초기에 분란을 겪게 됩니다. 고려와의 관계 단절을 위해 고려 호족집안과 결혼한 자녀들이 아닌 방석을 세자로 삼았다가 이방원이 일으킨 1차 왕자의 난으로 첫째는 위화도 회군이 반란이라고 비판하면서 가족들과 철원으로 들어가 죽을 때까지 나오지 않았기에 둘째 방과(정종)를 세자로 삼게 되었고 2차 왕자의 난으로 네째 방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방원이 정종의 양자로 입적하는 형식으로 세자가 되어 태종이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의 8명의 왕자 중에 이방원은 그 중 다섯째였습니다. 문제는 태조의 뒤를 이을 세자를 정하는 데서부터 시작되는데 태조가 다 큰 왕자들을 제쳐 두고 열 살짜리 어린 막내를 세자로 삼았기에 이에 격분한 왕자들은 서로 싸우고 죽이는 왕좌의 난을 거치면서 가장 세력이 컸던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조선 건국 후 첫 번째 왕비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아들들 중 막내인 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했습니다. 이에 신의왕후 소생 왕자들의 반발이 있었고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석과 방번 형제를 제거하고 자신의 형인 정종을 왕위에 올렸습니다. 정종은 왕위에 뜻이 없어 재위 2년 만에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이로써 이방원은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