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레알수동적인하늘다람쥐
레알수동적인하늘다람쥐

AI 스타트업 초창기 서버 종류, 선택 그리고 고려사항 문의

청각장애인분들을 위한 AI 스타트업 창업준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서버 와 AI, ML 전문가분한태 답변 얻으러 아하를 찾았습니다. 저희가 필요한 AI 기능은 자연어 processing, 컴퓨터 비전, 통역 과 음성인식의 종합체입니다. 이런 것들을 곧바로 구글 번역기처럼 사용자들이 빨리 사용할때 필요한 서버 종류 와 서버 크기는 어떤건가요? 이 서버들은 어디서 어떻게 얼마에 구매하나요? (갑싼 AI 특화 서버도 있나요?) 그리고 중요한건, 서버를 선택할때 얼마나 고도된 AI 학습이 필요하냐 이 요건 하나면 결정할수있습니까 아니면 다른 고려사항 이 있나요? 예를 들어 접속자 수, 학습에 필요한 대이터, 거의 라이브 통역정도의 스피드, etc.

친절한 전문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청각장애인분들을 위한 AI 스타트업을 준비 중이라니 멋지네요. AI 스타트업에서 서버 선택은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통역,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GPU가 탑재된 고성능 서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 Google Cloud, Microsoft Azure 등에서 필요에 맞게 서버를 임대하는 것도 고려할 만합니다.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예산을 절약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 선택 시에는 AI 모델의 복잡도뿐만 아니라 동시 접속자 수, 데이터 처리량, 응답 속도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라이브 통역이 요구된다면 저지연성과 높은 처리 속도가 필수적입니다. 저렴한 AI 특화 서버도 있지만, 초기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확장하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AI 스타트업 초기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GPU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유연합니다. AWS, Google Cloud, Azure 등에서 NVIDIA A100, V100, 또는 구글 TPU와 같은 AI 특화 서버를 임대할 수 있습니다. 서버 선택 시 AI 학습량 외에도 예상 접속자 수, 데이터 처리량, 실시간 응답 속도(예: 통역), 비용, 확장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클라우드를 활용해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조정하는 것이 현명하며, 장기적으로 온프레미스와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프로젝트에는 고성능 GPU가 탑재된 AI 서버가 필요할 것입니다.

    엔비디아 A100 또는 V100 GPU를 탑재한 서버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서버 크기는 예상 사용자 수와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서버 구매 방법

    클라우드 서비시 이용 AWS,Azure,구글 클라우드 등의 클라우드 서비르를 이용하면 초기 비용을 줄이고

    필요에 따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서버 구축 - 직접 서버를 구매하여 구축할 수 있으나 초기 비용이 높고 관리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접근- 클라우드 와 온프레미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AI 특화 서버로는 구글 클라우드 TPU 나 아마존 EC2 P3 instances 등이 있습니다.

    선택시 고려사항 요소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AI 학습의 복잡도는 중요한 요소 이며 그밖에도 GPU 모델 및 성능, 메모리크기, 네트워크 성능,확장성,예상 사용자 수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과 복잡도,실시간 처리 요구사항(통역), 초기 투자 비용 및 운영 비용, 보완 요구 사항 등

    추천 하는 접근 방식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시작 하여 비용을 최적화 합니다.

    이는 KT의 하이퍼스케일 AI 컴퓨팅(HAC)이 해당 됩니다.

    실제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리소스를 정확히 파악하세요

    사용자 수와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리소스를 점진적으로 확장합니다.

    AI 및 클라우드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찾습니다.

    위와 같은 접근 방식을 통해 초기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프로젝트의 성장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AI 스타트업 초기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요구사항에 맞춰 서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음성인식 등을 위해서는 고성능 GPU가 탑재된 서버가 필요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임대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AWS, Google Cloud, Microsoft Azure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은 초기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필요할 때 자원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부터物리적 서버를 구매하기보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테스트하고, 비즈니스가 확장됨에 따라 요구사항을 조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또한, 서버를 선택할 때는 AI 학습량 외에도 접속자 수, 데이터 양, 실시간 처리 속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실시간 통역 같은 경우는 처리 지연이 적어야 하므로, 네트워크 대역폭과 지연 시간도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비용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제공 업체의 요금제를 사전 비교하고, 서비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에 적절한 목표와 요구사항을 설정하고, 그에 맞춰 서버를 선택해 나가면 효율적인 AI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