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성종이 간도 개척을 시도했던 이유가 있나요?

성종 시기에 간도 개척을 시도했다가 사림 세력들의 반대로 이를 중단했고 이후 고종 시기까지 간도 개척이 시도되지못했는데 당시 성종이 이를 시도했던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진족이 북방에서 조선을 끊임없이 괴롭혔기 때문에 간도지역을 정복하고자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경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종종 변경 지역에서 양국 주민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곤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정부는 영토 확장과 함께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여러 차례 간도 개척을 시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의 국력은 모두 농업에서 나왔으니

    땅을 키우는 개척사업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시도하는 것이었습니다.

    더군다나 제대로된 국경선 이란게 없는 시대였으니까요.

    하지만 간도는 중국(명이던 청이던)과 조선 사이의 땅이었으니

    개척사업에 외교관계 폭발 이라는 반대급부가 있었고

    학문적인 가치를 중시하는=유교 종주국 중국을 존중하는 사림파는 당연히 반대 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종은 정통성을 갖지 못한 왕으로 예종의 적정자인 제안대군과 친형인 월산대군을 물리치고 왕이 된 까닭에 조정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 돌파구를 찾던 중 사림들을 대거 조정으로 불러들여 훈구세력을 견제하고자 하였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성종 역시 나름 왕권강화책으로 북방영토확장을 강조합니다. 사실 만주지역은 발해 멸망 이후 백두산 폭발 등으로 거주가 거의 불가능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성종 시기에 간도지역에 파견된 채탐인들(조선이 운용한 첩보부대)의 보고에 따르면 간도의 토질이 충청도의 토질과 환경이 비슷하다는 보고를 받게 됩니다. 이에 성종은 남만주 일대를 정직으로 조선의 영역에 편입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1, 2차 정벌에도 큰 성과는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