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힘찬하늘소177
힘찬하늘소177

백신여권에 블록체인을 쓴다던데 어떤원리인가요?

최근 IBM에서 백신여권에 블록체인기술을 응용하기로 했다는 기사를 본거같거든요.

국내에서도 SK텔레콤을 필두로하여 DID연합체??라고하는 코인들을 이용하여 백신여권을 만든다는 뉴스가 있는데 백신여권에 블록체인기술이 어떤식으로 들어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

      안녕하세요. 백신여권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새로운 신원인증 시스템 - 분산신원인증(DID)

      분산신원인증(DID:Decentralized ID)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신원증명을 말하며 탈중화 신원인증이라고도 불립니다. 앞으로 공인인증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신분인증(증)을 대체하게 됩니다.

      • 공인인증시스템의 단점

        1. 관리에 번거로움과 사용에 불편함이 있습니다.

        2. 쉽게 복사가 가능하여 개인의 인증서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국내에서 사용하는 공인인증서(KISA)는 국제적으로 인정(비표준)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공인인증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신원인증을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1. 분산신원인증의 장점

          ① 간편성 증대 : 신원인증간 신분증(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등)을 지참하지 않아도 됩니다.

          ② 인증절차 간소화 :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별도의 기관을 통해 입증하지 않아도 됩니다.

          ③ 편리성 증대 : 신분증 관리의 편리함과 발급시간이 단축됩니다.

          ④ 인증 강화 : 신분증 위변조 방지를 통해 신분증 도용이 불가능 해집니다.

          ⑤ 개인정보 보호 강화 : 신분증 분실 및 해킹 따른 개인정보 노출이 최소화 됩니다.

      482221 기사의 0번째 이미지

      < DID적용 예시 이미지 출처 : 매일경제 >

      • DID와 백신여권과의 관계

        1. 백신 접종 사실을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신분인증을 통해 증명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이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 동의하에 접종사실을 외부로 전송(전파) 할 수 있습니다.

        3. 백신여권과 관련된 블록체인 기술로는 메디블록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