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하고 비트캐시하고 차이점이 뭔가요?
이름이 비슷한데요 혹시 업그레이드 버전인가요? 아니면 같은 회사인가요? 그리고 다른, 상위 코인에 대해서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테더는 달러나 통화를 기준으로 흐름이 있다든가 이런식으로 설명 부탁드려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하고 비트캐시하고 차이점이 뭔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비트코인캐시의 경우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코인 입니다.
아래는 업비트 코인정보(https://upbit.com/exchange?code=CRIX.UPBIT.KRW-BCH)에 나오는 비트코인 캐시의 코인소개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코인소개
비트코인캐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비트코인캐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하드포크란 인위적으로 블록체인을 분절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는 2017년 8월 1일에 시행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던 사용자들은 같은 양의 비트코인캐시를 추가로 받았으며, 이 방식으로 기존 비트코인의 채굴량만큼 배포되었습니다.
하드포크에 대한 논의는 1MB로 제한되어 있던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은 단기간에 급격히 성장하며 거래가 많이 늘었는데, 블록 크기는 그대로여서 높은 수수료를 내지 않으면 거래 승인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대해 세그윗과 블록 크기 증대라는 두 가지 해결방안이 고안되었고,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세그윗에 합의했지만 이에 반대하던 세력들이 존재했습니다. viaBTC과 비트메인을 주로 하는 블록 크기 증대 지지자들은 세그윗을 실행하는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했으며, 분리된 블록체인을 비트코인캐시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는 별개의 블록체인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코인 특징
1. 비트코인캐시 블록체인은 블록 크기를 2MB부터 8MB까지 유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Bitcoin ABC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기존 1MB의 블록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한 블록에 들어가는 거래의 수량을 늘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존 비트코인보다 더 낮은 수수료를 지급해도 되고, 더 빨리 컨펌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방식은 세그윗과 다른 접근으로 비트코인 스케일링 문제를 해결합니다.
* 세그윗이란 프로토콜의 서명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블록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4MB로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스케일링 방법입니다.
2. 2016개의 블록마다 난이도를 조정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비트코인캐시는 6개의 블록마다 난이도를 조정합니다. 하드포크될 당시 비트코인의 높은 난이도를 그대로 가져왔는데, 비트코인과 달리 해쉬파워가 많지 않아 블록 생성에 긴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현재 이는 조정 중이고, 평균 10분을 맞추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합니다.위에서 보듯이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블록크기입니다.
비트코인은 블록크기가 1MB로 제한이 되어 있고 비트코인 캐시의 경우 2MB~8MB까지 유동적입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캐쉬는 비트메인이 밀고 있는 코인입니다. 이것은 비트코인으로 부터 하드포크 된 것입니다. 이 둘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블록 크기 입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비트코인 캐쉬의 블록 크기가 비크코인의 것 보다 2배 정도 큽니다. 따라서 처리 할 수 있는 거래내역이 단순히 생각하면 2배입니다.
테더는 말씀 하신 것 처럼 달러로 구매한 것입니다. 신기하게도 이 테더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비트코인용 테더도 있고, 이더리움, 트론용 테더도 있습니다. 이 테더가 발행된다는 것은 달러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새롭게 들어온 것울 뜻합니다. 그리고 테더는 암호화폐를 구매하는디 사용됩니다. 따라서 신규 테더가 많이 발행된다는 것은 암호화폐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증가한 것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름만 비슷할뿐 서로 다른 것이라도 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본래 비트코인이 있었고 비트코인의 느린 트랜잭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로 비트코인캐시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나온시점으로 본다면 비트코인캐시가 더 최신버전입니다.
예전이 상황을 보면 비트코인은 블록의 크기를 1MByte로 제한하였고, 이를 기존의 체계를 유지하면서 개선하자는 커뮤니티 멤버들과 완전히 바꾸자는 멤버들 사이에서, 완전히 바꾸자는 멤버들이 기존 블록체인과의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는 "하드포크"를 하게 되었고 블록 사이즈를 32MByte로 키우게 됩니다. 이게 바로 비트코인캐시입니다.
하지만 이 비트코인캐시 네트웍의 참여자는 비트코이만큼 많지는 않습니다. 결과론적으로 기존의 소프트포크를 주장한 멤버들의 커뮤니티가 더 많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도 비트코인을 실제 거래에 쓰기에는 트랜잭션 속도는 매우 느리고, 이를 하트포크가 아닌 레이어2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블록체인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트코인에서 의견이 갈려 파생된 코인이 비트코인 캐시입니다.결제를 특화시켜 속도를 더 향상시켰죠.
이후 비트코인에서는 비트코인골드도 추가 파생되었고 비트코인캐시에서는 비트코인sv도 파생되었습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골드
비트코인캐시-비트코인sv
후속으로 파생된 코인이 속도면에서 개선이 되었으나 이더리움처럼 추가적인 기능이 들어가기엔 한계가 있었습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문 주신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 돼서 나온 코인입니다. 즉 비트코인 재단측에서의 운영 철학이 맞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서 체인을 분리하여 더 성능을 개량해서 분리한 코인을 비트코인 캐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한 블록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 속도 측면에서 비트코인 캐시가 더 좋으나 가격은 비트코인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다른 상위코인 특징을 설명드리면 대표적인게 이더리움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플랫폼 코인을 포커스해서 나온 것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기술을 통해서 탈중앙화 플랫폼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끔 디자인되어 나온 코인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답변 채택 부탁드려요~
비트코인캐시는 2017년 8월 비트코인에서 분할(하드포크 hardfork)돼 거래되는 가상화폐 입니다.
비트코인 진영에서는 1세대 암호화폐가 갖는 태생적 단점인 거래 내용 기록 용량 부족과 늦어지는 송금 속도를 높이기 위해 트랜잭션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를 여러 차례 실시했다. 비트코인 하드 포크 결과로 탄생한 암호화폐가 바로 비트코인캐시죠.
비트코인캐시는 하드 포크 시점부터 블록은 최소 2MB부터 8MB까지 유동적으로 변화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블록 사이즈가 커졌기 때문에 기존 비트코인보다 더 많은 트랜잭션을 담을 수 있어 수수료에서 유리하며 컨펌속도 또한 빠릅니다.달러화가 세계경제에서 기축통화이듯이 비트코인은 코인에서는 기축통화입니다.
감사합니다.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비트코인은 1개 블록 크기가 1MB입니다.
1MB 다보니 블록 생성 시간을 봤을때는 거래 정보가 많이 들어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거래정보가 많이 들어가지 못하니 처리속도가 늦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에서 하드 포크하여 블록 크기를 2MB ~ 8MB로 늘렸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에 비해서 처리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MB나 2MB나 굉장히 작은 용량이지만 모이다보면 엄청큰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용량 문제로 여러가지 이슈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이부분은 채굴을 하는 입장에서는 비용이 되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있었는지 2MB로 정해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