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는 여름에 엄청 습하고 겨울에는 엄청 건조한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는 여름에 엄청 습하고 겨울에는 엄청 건조한 이유가 뭔가요? 4계절로 구별되면서 날씨의 영향이 큰거 같은데 다른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가 수증기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 습한 날씨가 되고 수증기를 많이 가지고 있지
않으면 건조한 날씨가 됩니다.
공기가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최대한의 수증기 양을 포화수증기량이라고 하는데, 포화수증기량은 온도에 따라 다르며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은 많아집니다. 여름의 더운 공기는 포화수증기량이 많아서 습합니다.
반대로 가을과 겨울의 찬 공기는 더운 공기에 비해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적습니다. 찬 공기는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수증기 양이 적기 때문에 건조한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이 상대적으로 길기도 하며
여름에는 태풍,장마 등으로 수증기가 많아지고,
겨울에는 찬 공기가 남하하여 저기압이 형성되며,
이 때문에 건조해 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