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운동
주자 만루시 타자가 병살타를 치면서 1득점을 하면 왜 타점으로 기록되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무사 주자 만루 상황에서 타자가 땅볼로 인해서 병살타를 기록하면서 1득점을 하게되면
왜 그 타자에게는 타점으로 기록해주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병살타의 경우 자신 뿐 아니라 주자까지 아웃을 시킴으로써 희생타의 개념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에서 득점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타점으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건 그렇게 하기로 룰에 결정을 했으니까 그런 겁니다.
병살타로 아웃카운트 두개를 까먹고 타점이 올라가는 건 불합리하다고 초기야구에서도 판단을 해서입니다.
타자가 타격하여 한 사람만 아웃된 상황에서 득점을 하게 된다면 타자에게 타점이 부여됩니다. 그러나 아웃카운트가 2개가 한꺼번에 기록하게 된다면 타자의 타격으로 인한 득점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타점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타점(RBI, Run Batted In)은 타자가 타격을 해서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였을 때 기록됩니다.
병살타는 타자가 친 공이 수비수에게 잡혀 아웃되고, 동시에 다른 주자도 아웃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타자가 친 공이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인 것이 아니라, 수비수의 수비로 인해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타자에게 타점이 기록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moyathis입니다.
병살타는 희생타가 아니기 때문에 타점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자기만 아웃된 것이 아니라 동료도 아웃되었기 때문입니다.
병살은 아웃카운트 2개를 없애기때문에 팀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진 못하죠...그래서 타점을 기록원이 안줍니다~~~~도움이 되셧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