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진시황릉을 계속 발굴못하는 이유와 수은이 상관관계가 있다는 주장의 진위는?

진시황릉의 발견은

1974년 중국 산시성 시안 인근 린퉁현에서

한 농부께서 우물을 만들려고 땅을 파다가

우연히 소위말하는 병마용 이라는 도자기로 만든 군대형상을 발견하게 되면서

위치와 규모가 결과적으로 알려지게 되는 계기였는데요

그 후로

약 50년에 걸쳐서 일부 지역에 발굴이 진행은 되고 있습니다만

병마용갱은 현재 유적지 형식으로 공개되고 있습니다.

병마용은 단시 진나라 군대조직이나 무기 기술, 공예기술 등을 실물로 확인가능한 자료로

중국 고대사 연구에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걸로 나오는데요

진시황릉이 봉분이나 내부 궁전 부분은

아직 본격적으로 발굴이 못되는 상화이라고 알고있는데

그 부분에서

수은이 상당한 관련 이유가 된다는 주장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발굴 불가의 이유가 수은과 관련된다는 주장은 어느정도 진위성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발굴 기술로는 진시황릉의 거대한 규모와 복합적인 구조, 그리고 내부 유물 훼손 없이 안전하게 발굴하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로 발굴이 멈춰진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병마용갱 발굴 당시 책색이 산화로 손상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진시황릉 내부에 수은으로 강과 바다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잇어 인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발굴이 멈춰진 것입니다. 수은 기체가 누출될 경우 안전 문제와 환경 오염 우려가 있습니다. 이 점이 발굴을 미루는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고대 왕릉을 함부로 파헤치는 것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있는 것도 중단된 요인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