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을 '기간을 정해서 주는 것'과 '필요할 때마다 주는 것' 어떤 방법이 더 현명한 경제교육이 될까요?
어느 정도 돈에 대한 개념이 머릿속에 생겨나게 된다면 제일 먼저 고민이 되는게 용돈을 어떻게, 얼마나 주느냐의 문제입니다. 주변 지인들을 보면 용돈을 얼마나 주는지는 대략 감을잡았는데 어떤식으로 주는게 좋을지 모르겠어서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정기적으로 주는 방식이 경제교육에 더 도움이 됩니다. 한 달 간격으로 일정한 용돈을 주는 방법은 아이에게 돈의 가치를 이해하고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주기에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한 달 동안 필요한 지출을 미리 계획하고, 원하는 물건이나 활동을 위해 돈을 저축하는 개념도 익힐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주어진 용돈으로 한 달 동안 먹고 싶은 간식을 사거나 원하는 장난감을 사기 위해 돈을 아껴 사용하는 법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마다 주는 방식은 아이가 돈을 무한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어 경제관념을 형성하는 데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특별한 상황이나 긴급한 필요가 있을 때는 추가로 용돈을 줄 수도 있지만, 일관되게 정기적인 용돈을 기반으로 아이가 자율적으로 돈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용돈을 다 쓰거나 부족할 때, 이유를 듣고 함께 예산을 계획하며 어떻게 하면 용돈을 더 잘 관리할 수 있을지 이야기하는 것도 좋은 경제 교육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용돈을 기간을 정해서 주는것이 더 좋을거같습니다 필요할때 주는것보다 기간을정해서 주는건이 돈의 저축과 소비 등을 더 계획적으로 접근할수있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용돈을 기간을 정해서 주시거나 필요할때마다 주시는것은 아무래도 아이와 부모님의 성향에 맞춰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생각하기 나름인데 아이에게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용돈을 지급해주시면 아이들은 여러 가지 방법의 지급 방법을 경험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될겁니다. 이렇게만 해줘야 아이들은 경제 관념에 대해서 조금씩 생각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아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것을 경험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둘다 좋은 방법입니다 기간을 정해서 주면 아이가 자신의 계획에 따라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마다 주면 쓸데없는 소비를 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기간을 정해서 주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긴 기간 보다는 짧은 기간이 더 나을 것 같구요
본인이 원하는 물건이 있을 때는 그 기간 동안 모은 용돈으로 살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서 절약, 저축의 개념을 심어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