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밥을 좋아합니다. 양을 어느정도 먹는것이 좋을까요?
콩밥을 좋아합니다. 양을 어느정도 먹는것이 좋을까요?
다이어트를 시작하면서 밥양을 줄이면서 콩의 양을 늘리게 되었습니다.
전체적인 양은 식당 공기밥의 2/3 정도 먹고
콩은 반, 쌀 반정도 먹습니다.
콩밥은 건강한 다이어트 법 이므로 강력추천, 평소양 먹듯이 식사를 하여도 다이어트에 효과를 볼수 있답니다. 밥을 쌀보다 현미를 사용(혹은 쌀반+현미반)하면 더 건강관리와 다이어트에도 도움될것입니다
첫째, 뛰어난 정장작용으로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킨다콩밥의 다이어트 능력은 첫째로 정장작용에 있다. 검은콩과 팥에 다량 함유된 섬유질의 양은 우엉과 고구마를 능가한다. 검은콩에는 올리고당도 풍부하다. 이들 유효성분이 하나가 돼 장내환경을 정돈하고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준다.
섬유질은 장관 속에 들어가면 수분을 흡수하고, 다른 내용물과 함께 팽창한다. 배설하기 쉽게 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장내 점막을 자극해 변통을 촉진시킨다.
함께 짓는 현미도 섬유질의 보고다. 팥과 검은콩, 현미로 구성된 콩밥은 최강의 섬유질 트리오라 할 수 있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것은 올리고당이다. 검은콩에는 라피노오스(3당류)와 스타키오스(4당류) 같은 올리고당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이러한 올리고당은 장내 좋은 균의 대표인 비피더스균이 아주 좋아한다. 장내에 들어가면 원기를 보충하고 증식한다. 그 결과 장내는 좋은 균이 증가하고 반대로 나쁜 균이 줄어 장내환경이 정돈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장의 활동이 좋아지고 영양의 흡수, 노폐물의 배설이 원활해질수록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좋아질 것은 뻔한 이치. 따라서 콩밥을 먹으면 다이어트에 중요한 에너지소비가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장관 내에서는 섬유질이 여분의 지방을 흡착해 체외로 배출시킨다. 이것도 다이어트를 돕는 역할을 한다.
둘째, 폴리페놀이 지방의 흡수를 억제한다콩밥의 두 번째 다이어트 능력은 폴리페놀의 작용이다. 폴리페놀은 식품에 함유된 색소와 떫은 맛 성분인데, 우리 건강에 도움이 되는 많은 작용을 갖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체내에서의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튀김이나 불고기 등 기름기 많은 음식을 먹은 후 녹차나 우롱차를 마시면 위가 개운해진다. 이것은 녹차의 카테킨, 우롱차의 탄닌이라는 폴리페놀의 작용(지방질 흡수방해 작용)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폴리페놀을 섭취하면 지방의 체외 배출률이 증가한다. 그것은 다이어트 효과와 연결된다. 이러한 폴리페놀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는데, 팥에 함유된 것은 안토시아닌, 검은콩에 함유된 것은 카테킨이다. 콩류 중에도 특히 많이 함유돼 있는 것이 팥이다.
콩밥다이어트의 매력은 다이어트를 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건강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콩밥에 많이 들어있는 섬유질은 대장암과 동맥경화, 당뇨병,생활습관병 예방,개선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폴리페놀에는 또강한 항산화작용이 있으며, 이같은 건강효과는 다양한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콩밥은 씹는 횟수도 자연히 많아지고 소량으로도 포만감을 얻을 수 있어 다이어트에는 매우 효과적이다
섬유질과 폴리페놀 등의 성분 함유량 면에서는 팥과 검은콩을 우선으로 권할 수 있는데, 싫증나지 않도록 가끔은 콩 종류를 바꿔보는 것도 좋다. 또 섬유질과 철분이 풍부한 톳과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적당량 넣어 밥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더욱더 완전 영양식으로 변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