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눈난누나
눈난누나

동물(애완동물이든 야생동물이든)은 지능장애가 없나요?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코리안숏헤어
성별
암컷
나이 (개월)
11개월
몸무게 (kg)
3.3
중성화 수술
1회

저희집 고양이 두마리를 보다가 얜 약간 바보인가..? 생각나서 질문 드립니다.


동물이나 인간이나 생기는 질병, 장애는 비슷한거같더라구요.

혹시 동물에게도 지능장애가 있을 수 있나요?

인간이야 정확한 척도가 있고 지능에 문제가 있으면 사회적으로 눈에 띈다지만 동물은 그 동물중에서 지능이 좀 떨어져도 도태되고 말지 눈에 띄진 않을 듯 해서요.


그래서 아예 동물은 지능장애 판정을 안해서 아예 없는지, 아니면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동물에게도 지능장애라는 용어를 적용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동물의 경우, 정상적인 지능 범위가 무엇인지, 적응행동이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지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물론, 동물에게도 뇌 손상, 유전적 결함, 감염, 영양 결핍 등으로 인해 지능이 저하되거나 행동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동물의 병리학적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지능장애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동물에게도 지능장애가 있을 수 있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동물의 지능은 인간의 지능과는 다른 차원의 개념이며, 동물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됩니다. 저희집 고양이가 바보 같다고 느끼시는 것은, 고양이의 지능이 낮아서가 아니라, 고양이의 행동이 인간의 기준과 다르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고양이가 하는것중 사람은 하고 고양이는 못하는건 사람말 정도입니다. 그 외의 모든 행동 뿐 아니라 생각, 그리고 질환은 동일하게 발생한다고 보셔도 크게 무방합니다.

      지능장애도 같은 범주에서 발생하지만

      다만 그 판정이라는 기준이 사람의 주관에 의해 만들어지는것이라 기준에 따라 지능은 달라져 뚜렷한 표준은 없습니다.

      오히려 야생의 고양이 개념에서 볼때 포식자인 인간에게 접근하여 애교를 피워야 하는 것을 보면 고양이과 동물의 입장에서 고양이는 지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해야 하는것과 유사한 어려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