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1876년 2월에 체결된 조일수호조규가 국권피탈의 시발점이 된 것은 어떤 내용 때문인가요?

조선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기게 된 몇가지 이유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1876년에 체결된 조일수호조규라고 들었습니다

조일수호조규에 담긴 어떤 조항들 때문에

조선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기게 된 계기라고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조항들이 문제가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화도 조약이라고 알고 있는 '조일수호조규'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지만 불평등 조약입니다. 그 가운데 3개항 개항(부산, 원산, 인천)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은 3개항에 조계지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일본인 거주할 수 있으며, 치외법권을 행사하였습니다. 그리고 해얀 측량권입니다. 일본은 우리나라 해안을 측량하여 침략을 위한 지형 조사를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