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뽀로로
뽀로로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의 원리가 뭔가요?

인터넷을 보다보니 밤이 오지 않는 백야현상과 낮이 오지 않는 극야현상이 있다는데 이런 현상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특정지역은 어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극지방에서 해가 지지 않거나 해가 뜨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기울어진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으면 극지방에 태양이 지지 않는 백야가 발생하고 반대로 태양을 등지고 있으면 극지방에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가 발생합니다. 백야라고 해서 밤에 대낯처럼 해가 밝은 것은 아니고 저녁 무렵의 밝은 하늘 정도의 밝기가 유지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야" 현상은 일년 중 특정 시간 동안 지구의 극에 가까운 지역에서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여름철에는 지구 축의 기울기와 태양과 관련된 북극과 남극의 위치로 인해 태양이 하늘에서 오랜 시간 동안, 때로는 하루 24시간 동안 보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해가 완전히 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야간 시간 동안에도 하늘은 밝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 현상은 여름철에 북극 지방에서, 겨울철에 남극 지방에서 발생합니다.

    "극야" 현상은 백야 현상의 반대이며, 일반적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태양이 수평선 위로 떠오르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북극권과 남극권 내의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여기서 지구 축의 기울기와 태양과 관련된 극의 위치는 일년 중 특정 기간 동안 태양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낮 시간 동안 하늘이 어둡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겨울 동안 북극 지역에서, 여름 동안 남극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두 현상 모두 지구의 축 기울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지구 자전 및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극지방은 계절에 따라 일광 시간과 어둠의 극심한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 지구가 23.5도 이울어져 자전과 공전을 하기 때문에 양 극지방에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기울어짐에의해 북극점이 여름이되어 태양에 완전히 노출되면 해가 지지않는 백야현상이 발생되고 반대로 남극점은 태양을 볼수 없어 밤이 계속 됩니다

  •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은 극지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백야현상은 극지역에서는 하루가 너무 길어서 밤이 오지 않는 현상을 말하며, 극야현상은 극지역에서는 하루가 너무 짧아서 낮이 오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극지역의 고립성 때문에 일어납니다. 특정 지역으로는 남극과 북극에서 일어납니다.

  • 백야 현상은 자전축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져서 자전을 하게 됩니다.

    이 기울기에 의해 지구가 공전할 때 자전축의 양 끝 중,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곳에서 항상 햇빛을 받는 부분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백야 현상은 위도 66도 이상의 고위도 지방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하고,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도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지구가 23.5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도 66.5도를 기준으로 6개월 정도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북반구에서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을 살펴보면 유럽의 폴란드, 러시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아이슬란드, 영국, 아일랜드, 벨기에, 체코, 우크라이나, 독일 등이 있고, 아시아에서는 카자흐스탄, 몽골 등이 있으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캐나다, 알래스카, 그린란드가 있다. 남반구에서는 남아메리카의 칠레 아르헨티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