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유쾌한갈기쥐71
유쾌한갈기쥐71

대사성 알칼리증 vs 호흡성 알칼리증?

성별
남성
나이대
27

대사성 알칼리증하고 호흡성 알칼리증이라는 것도 있던데 이거는 둘중 기전이 머가 다른거 인가요?? 그리고 두가지 다 치료 방법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대사성 알칼리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은 모두 혈액의 pH가 상승하는 상태이지만, 발생하는 기전이 다릅니다. 대사성 알칼리증은 신장에서의 중탄산염(HCO3-) 과다 생성이나 배출 감소, 또는 위산 손실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호흡성 알칼리증은 과호흡으로 인한 이산화탄소(CO2) 과다 배출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치료 방법 또한 원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사성 알칼리증의 경우 원인 교정(예: 위산 억제제 중단, 염화칼륨 투여) 및 체액 보충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호흡성 알칼리증의 경우 과호흡의 원인을 찾아 교정(예: 진정제 투여, 통증 조절)하고, 필요시 산소 공급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대사성 알칼리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은 모두 혈액의 pH가 증가하여 알칼리성이 되는 상태를 말하지만, 그 기전과 원인은 서로 다릅니다. 대사성 알칼리증은 주로 신체 내에서 과도한 염기 생성이나 산의 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구토로 인해 위 속의 산이 소실되거나, 이뇨제로 인한 체내의 이온 불균형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체내의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고 산-염기 균형을 맞추는 쪽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반면, 호흡성 알칼리증은 과도한 호흡으로 인해 체내 이산화탄소 수치가 낮아지면서 발생합니다. 과호흡을 하게 되면 혈중 CO2가 감소하게 되어 pH가 증가하게 됩니다. 스트레스, 고산병, 열성 질환 등이 이러한 과호흡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호흡을 조절하거나 과호흡의 원인을 찾아 적절히 관리하는 방법으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두 상태 모두 알칼리혈증을 유발하지만, 그 원인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방법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대사성 알칼리증은 

    구토 (위산 손실), 

    이뇨제 사용 (H+와 K+ 손실), 

    과도한 제산제(탄산수소나트륨) 섭취 같은 원인에 의해서 알칼리증이 생기는 상황이고 호흡성 알칼리증은

    과호흡 증후군, 

    공황 발작 같은 원인에 의해서 과도하게 이산화 탄소가 배출되면서 알칼리증이 유발된 상황입니다. 

    알칼리증을 유발하게된 원인이 호흡과 관련이 있냐 위장관이나 신장에 있냐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

    급성기 치료는 알칼리증을 해결하는 방향이라 비슷하지만 그 원인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달라지겠습니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과한 호흡을 안정화시켜야하고 대사성은 그 원인인 구토나 이뇨제 사용 이런 부분을 교정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