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가 화질이 좋다고 하는데 어떤차이로 화질이 좋다고 하는건가요?
일반 화질보다 OLED화질이 주변에서 더 좋다고하는데 어떤차이로 화질이 더 좋다고하나요? OLED는 스스로 빛을 낸다고도 하고 어떤원리로 그런게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 OLED는 8K 기준 약 3,300만 개에 달하는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인데요. 수많은 화소가 자연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해, 눈이 부시지 않으면서도 가장 완벽하고 선명한 영상을 보여줍니다 - 반면 lcd는 뒤에 백라이트로 빛을 내고 편광판을 통과하므로 oled보단 색이 덜 선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OLED는 넓은 색상 범위를 지원하며, 색상의 표현이 더 정확하고 선명합니다. 일반적으로 OLED는 더 생생하고 포화된 색상을 제공하여 실제 생활의 색감에 더 가까운 화면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주변에서 화질이 더 좋다고 이야기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각 화소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소자로, 직접 픽셀을 조명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에 따라, 백색 LED나 CCFL 조명을 사용하는 LCD와 달리 OLED는 더욱 탁월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 OLED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1. 광원의 부재로 인한 고해상도와 높은 명암비 - OLED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소자이기 때문에, 백색 LED나 CCFL 조명을 사용하는 LCD와 달리 광원의 부재로 인한 문제가 없습니다. 이에 따라, OLED는 높은 명암비와 고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 광원의 부재로 인한 낮은 전력 소모량 - OLED는 광원의 부재로 인해 전력 소모량이 매우 낮습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길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 - 3. 빠른 응답 시간 - OLED는 각 화소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전기 신호를 받으면 즉시 빛을 내게 됩니다. 이에 따라,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구형화 문제 - OLED는 구형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OLED 소자의 재료 특성상 발생하는 문제로, 재료 기술의 발전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 OLED 기술은 현재 스마트폰, TV, 모니터, 전광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기술적인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는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을 이용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입니다. - 백라이트 광원을 활용해 액정과 컬러필터를 거쳐 색을 표현하는 LCD와 달리 OLED는 유기발광층에 전류를 가했을 때 이에 반응하는 빛의 3원색인 RGB 발광물질을 통해 색을 표현합니다. - 픽셀 하나하나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화질,두께, 소비전력 측면에서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유연하게 구부리고 접을 수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OLED는 더욱 넓은 색영역을 재현할 수 있으며, 더욱 진한 검은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LCD 디스플레이는 LED 백라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검은색을 재현하기 위해 백라이트를 차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어두운 장면에서도 일부 백라이트가 누출되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OLED는 각각의 픽셀이 독립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검은색을 구현하는 데 더욱 용이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