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미래도평범한포도
미래도평범한포도

먹은 음식에 관계없이 무른변? 설사? + 거품변을 봅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8

꽤 오래 되긴 했는데요(몇년 됐음) 변을 볼 때 마다 브리스톨 대변표에서 5,6,7번 같은 변(최근엔 거의 6번 같은) 변을 보고

변을 보던 중 점점 묽어지는 변이 나오고, 마지막에 물같은 변이 나오는 듯 하고, 보고 나서 변기를 확인 해보면, 변기 위에 노란 물? 과 함께 거품이 끼어있는데요, 이게 한 두번이면 모르겠는데 변을 볼 때 마다 그런 변이라서요.

무슨 증상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장기간 지속되는 묽은 변, 설사, 거품변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 질환, 또는 장내 세균 불균형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식사와 관계없이 증상이 나타나고, 수 년 동안 지속되었다는 점은 만성적인 문제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고, 필요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변의 상태가 주기적으로 무르고, 거품이 끼거나 물과 같이 나오는 경우에는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같은 기능성 장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화관의 운동 이상으로 인해 변이 고르지 못하고, 종종 무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에 대한 독특한 민감성이나 소화 불량으로 인해 변이 묽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는 소화효소 분비 문제나 흡수 장애가 있을 경우 변에서 거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지방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아 변에 공기 방울이 생기면서 거품이 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특정 음식을 섭취할 때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면, 음식 알레르기나 불내증을 의심해볼 수도 있습니다. 글루텐, 유당 등 특정 성분에 대한 민감증이 있을 경우 장내에서 염증 반응이나 소화 불량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변이 묽고 거품이 낄 수 있습니다. 또한, 췌장 기능 부전으로 인해 소화 효소가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흡수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 검사나 대변 검사, 필요에 따라 대장 내시경 같은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장내 염증 여부, 소화효소 부족, 흡수 장애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변이 계속해서 무르고 거품이 낀 상태라면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 불량이나 장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상태입니다. 특히, 장내에 가스가 많이 발생하거나, 지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으면 거품이 생기기도 합니다.

    과다한 지방 섭취나 흡수 장애가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는데, 이때 장에서 지방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아 변에 지방이 포함되면서 물 같은 변과 거품이 함께 나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지방 흡수 장애나 췌장 문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내 세균의 불균형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도 이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IBS는 장의 운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변이 묽어지거나 거품이 끼는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특정 음식, 혹은 장내 세균의 불균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장기적인 증상이라면, 이러한 상태가 계속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