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오늘배움
오늘배움

불교에서 말하는 영취산은 어디에 있는 산인지요?

불교 관련 서적을 읽다보면 '영취산'이 자주 등장합니다.

영취산은 실제로 존재하는 산인지, 실제로 존재한다면 어디에 있는 산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예리한밀잠자리144
    예리한밀잠자리144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위 치 전남 여수시

    높 이 510m

    4월이면 잿빛 산자락이 진달래로 붉게 타오른다.

    영취산 (전남여수시.5백10m). 화왕산 (경남창녕군.7백56m). 무학산 (경남마산시.7백67m) 은 남한의 3대 진달래 명산으로 손꼽힌다.

    온통 붉은 융단을 깔아놓은 것 같다.

    무려 10만평에 이르는 국내 최대의 진달래 군락지. 영취산은 여수반도 역사 유적지의 중심이다.

    고려때 세워진 호국사찰 흥국사가 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승군들이 주둔하며 충무공 이순신을 도왔던 유서깊은 곳이다.

    진례봉과 영취봉이 연꽃모양으로 흥국사를 둘러싸고 있는 산세가 그림같다.

    붉은 황토를 깐 홍교와 팔작지붕의 대웅전, 석가여래의 영취산 법회를 그린 후불탱화 등 보물급 유물·유적들도 남아있다.

    정상 금성대는 산신제와 기우제를 지냈던 성지. 남해의 올망졸망한 섬들과 여천공단이 한눈에 들어온다.

    진달래 능선은 정상(510m)을 지나 동북으로 뻗은 하산길. 골명재~월내동으로 이어지는 길은 꽃터널이다.

    촘촘이 떠있는 진홍빛 진달래가 갈길 바쁜 산꾼들의 발걸음을 자꾸 잡는다.

    영취산이란 이름의 유래는 석가모니 부처가 최후로 설법했던 인도의 영취산에서 따온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선사시대의 유적인 고인돌을 곳곳에서 볼 수 있고 고인돌발굴 조사를 하던 중 발견된 청동기 유물은 남한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

    다.

    라고 책에서 퍼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영취산(靈鷲山 · Gridhakuta · Vulture Peak)은 인도 비하르 주 라즈기르 시

    근처에 위치한 산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법한 산으로

    유명하다. 《법화경》에 그 장면이

    묘사된다. 특히 《반야심경》도

    이곳에서 설법되었다고 전해진다.

  • 영취산은 전국에 여러 곳에 있습니다.

    그러나 불교에서 말하는 영취산은

    호국 불교 측면에서 영취산을 말할 것입니다.

    호국 불교 측면에서 살펴 본다면

    여수에 있는 영취산(靈鷲山이며,

    그 산자락에 있는 흥국사에는

    10점이 넘는 보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으로부터 2600여 년 전, 석가모니부처님은 라자그라하(Rajagrha, 王舍城)의 기사굴산에서 수많은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법을 하셨다고 합니다. 부처님께서 6년간 안거철마다 머물면서 <법화경>을 설교한 그곳이 바로 기사굴산, 즉 영취산이었다고 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영취산은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하 (王舍城) 주위에 있던 산인데 석가모니의 설법장소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산경도 (山經圖)에는 덕유산 남쪽에 호남정맥 (湖南正脈)과 갈라지는 곳에 영취산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베이시 푸롱에 위치한 불교사찰 영취산 무생도량은 인생불교, 인간불교를 제창하는 타이완의 대표적인 도량으로 타이완 북쪽 푸롱 일대의 영적 랜드마크로 타이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영취산(靈鷲山)'은 불교에서 중요한 산 중 하나로, 지리적으로는 중국 대륙 동북부, 후베이성(湖北省) 성남시(省南市) 초우산(楚復山)에 위치합니다. 이 산은 중국 불교 삼보산 중 하나로, 지리적으로는 중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영취산은 중국 불교에서 존경받는 삼보(三寶) 중 하나인 경전(經典)을 비롯하여 많은 불교 서적에서 언급되며, 대표적인 사찰인 '영취사(靈鷲寺)'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산은 인도로부터 중국을 거쳐 한국에 전해진 삼보(三寶) 중 하나인 법(法)에 해당하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영취산은 불교 문화재로서 중국 국가 4A급 관광명소에 지정되어 있으며, 매년 많은 관광객과 신도들이 찾아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동여지도에는 영취산이라는 지명이 전국적으로 8곳이나 됩니다. 영취산은 불교와 관련된 지명으로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하(王舍城) 주위에 있던 산인데 석가모니의 설법장소로 유명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취산은 우리나라에 있는 산이 아닌

    고대 인도에 있던 산으로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아 주변에 있는 산 이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취산(靈崔山)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산으로, 불교에서는 중요한 역사적인 장소 중 하나입니다.

    영취산은 삼한시대부터 불교의 중요한 사찰이 있었던 곳으로, 특히 8세기에 신라의 선덕여왕이 이곳에 사찰을 건립하여 불교문화가 번성한 지역입니다. 신라의 선덕여왕은 751년에 영취산에 여래삼존종경(涅槃經)을 비롯한 다수의 경전을 모아놓은 "법장각(法藏閣)"을 건립하여 불교문화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영취산은 조선시대에도 불교문화가 번성한 지역으로, 조선시대 명신(名臣)인 안중근(安重根)의 출생지이기도 합니다.

    현재 영취산에는 여러 사찰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찰로는 법장사, 석보사, 은산사 등이 있습니다. 또한, 매년 4월에는 법회(法會)가 열리며, 많은 불교 신자들이 참석하여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