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

가끔 저녁마다 노을이 생기는 과학적인 이유는?

저녁마다 매일 노을이 생기지는 않더라고요.

가끔 노을이 밤마다 생기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있다면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집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이 붉어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태양에서 나온 빛은 낮 시간에는 대기권의 공기 속을 통과해서 지표에 닿기까지의 거리가 짧은 탓에 모든 빛이 온전하게 지표에 도달합니다.

    하지만 태양의 고도가 떨어져 지평선 쪽으로 기울면 태양빛이 대기권을 통과하는 거리가 낮 시간보다 길어지므로 파장이 짧은 빛은 대부분 흩어지고, 빨강, 주황, 노랑 빛 등 비교적 잘 흩어지지 않은 빛만 대기권을 통과한다네요.​

    노을의 색깔이 붉은 색이나 주황색인 이유도 긴 파장을 가진 태양빛만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개기월식 때 핏빛의 블러드문이 만들어지는 원리나 붉은 노을의 석양 모두 빛의 파장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 노을이 생기는 이유는 태양 빛이 먼지에 의해 흩어지며 생기는 현상입니다 햇빛이 지평선을 지날때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은 푸른 공기 분자나 먼지 같은 미립자에 의해 노을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