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보통 220v라고 하는데요. 그럼 이게 전압은 저항 곱하기 전류라고 하는데 얼마의 전류이고 저항으로 되어 있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보통 220v라고 하는데요. 그럼 이게 전압은 저항 곱하기 전류라고 하는데 얼마의 전류이고 저항으로 되어 있는 전압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류는 교류로 220v의 교류가 발전소에서 변압기를 통해서 들어오게 되고 이것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저항을 통해서 전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자체내에서 직류로 바꾸면서 필요한 전압으로 바꾸고 그것을 저항에 의해서 전류를 맞추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송원일 전문가입니다.

    220V에서 전류값은 부하에 따라 계산됩니다.

    흔히 전류의 흐름을 물의 흐름으로 비유하여 설명을 많이 하는데요.

    수압을 전압, 수류를 전류, 저항을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이라고 라고 비유하면,

    수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저항이 커지면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약해지고, 반대로 저항이 작으면 물의 흐름은 강해집니다.

    마찬가지로 전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저항이 커지면 전류는 작아지고, 저항이 작아지면 전류는 커지게 됩니다.

    이를 관계식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옴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220V는 전력 공급의 표준 전압이고 전류와 저항은 사용하는 기기와 부하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비전력이 2200W인 에어컨이라면 전류는 2200W/220V=10A이고, 저항은 220V/10A=22Ω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저항은 사용하는 기기와 전선 및 조명 부품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저항 곱하기 전류는 맞지만 전류와 저항값을 항상 일정하지 않고 어떤 제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예로 들어 헤어드라이기 2000를 사용한다면 2000/220 = 9.09A 로 나타나면 저항은 220/9.09 = 24.2Ω 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220V는 전압을 의미하며 실제 흐르는 전류나 저항은 연결된 기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옴의 법칙(V = I × R)에 따르면 전압이 220V일 때 전류(I)와 저항(R)은 서로 반비례 관계이므로 예를 들어 전류가 2A이면 저항은 110Ω, 전류가 0.5A이면 저항은 440Ω이 되는 식입니다. 즉 220V라는 값은 전기 공급의 기준일 뿐 실제 사용되는 전류량이나 저항은 기기마다 설계된 소비 전력(W = V × I)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압은 저항 곱하기 전류는 맞지만 이해를 잘못하시는것 가습니다. 220 전압을 전기를 사용하는것에 있어 저항이나 전류가 정해진것이 아니라! 기기나 부하에 따라 흐르는 전류와 필요한 저항이 달라지는 개념입니다.

    즉 전압 220v 는 고정이고 기기의 소비전력에 따라 전류는 달라지고 가가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것입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 소비전력이 2200w이라면 2200/220하여 10a 전류가 발생합니다. 여기에서 220v/10a 하여 기기가 22저항을 가진다는 뜻이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