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은 어떤 기업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미국 수출을 위해서 세계에서 기업들이 멕시코로 모여들고 있다고 하는데요.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기업에는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는 우리나라 중남미 수출의 약 50%를 차지하는 중점 협력국가로 그간 기아차의 몬테레이주 진출 등을 계기로 우리 부품업계가 동반 진출하면서 자동차와 가전 생산을 위한 중간재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돼 왔습니다. 최근에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미국 니어쇼어링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업종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배터리, 모터, 전장부품 등 고부가가치 중간재 수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다만 우리 현지 진출기업들은 복잡한 투자절차와 과세제도, 숙련인력 부족, 수입규제 등으로 멕시코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 진출 기업 삼성물산, LG,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군을 제외하고 몇 개사 말씀드리면 인지디스플레이, KST 일렉트릭, 태화멕스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멕시코로 진출한 기업들은 상당히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삼성전자, 포스코, 기아자동차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여러 한국 기업들이 멕시코에 진출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 LG, 현대자동차, 기아와 같은 대기업들이 멕시코에서 생산 공장을 운영하며 전기차 부품과 가전제품 등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멕시코의 케레타로와 티후아나에서 가전제품 생산을 확장하고 있고 현대와 기아는 전기차 부품을 생산하는 중요 기업입니다. 이외에도 포스코와 SK 같은 기업들도 멕시코에 투자하고 있어 멕시코가 중요한 제조 허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무역 규제로 인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들이 멕시코에 공장을 많이 세웠습니다.
우리나라도 북미로 수출하기위해 멕시코를 통해 관세를 회피했죠.
삼성전자, LG전자 등 생활가전 멕시코 공장이 있으며, 현대차 등 자동차 기업도 나가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삼성전자: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생산을 위해 멕시코에 여러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LG전자: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 생산을 위한 시설을 두고 있으며, 북미 시장을 겨냥한 생산 기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3. 현대자동차: 자동차 조립 공장을 운영하며, 북미 시장을 위한 차량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4. 기아자동차: 멕시코에 대규모 자동차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북미 및 중남미 시장을 겨냥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5. SK하이닉스: 반도체 관련 사업을 위해 멕시코에 진출해 있습니다.
6. 포스코: 철강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지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중소기업들이 멕시코에 진출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의 경우 이미 삼성, LG, 현대차, 포스코, CJ 등의 대기업 외에도
약 2천여개의 한국 기업이 멕시코에 포진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기업도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가령 자동차 분야, 철강 분야, 전자 및 가전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국내 기업이 참여하여 해외 판로를 뚫으려고 합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현대 및 기아자동차가 현지공장을 통해 자동차 모델을 제작 및 판매 수출 등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철강분야에서는 포스코에서 철강, 강판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자분야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이 자신들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며, 이는 낮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보다 나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로 제조업, 자동차, 전자, 가전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있습니다. 이들은 멕시코에서 가전제품을 생산하며, 현지 시장뿐만 아니라 북미 시장으로의 수출을 위해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 덕분에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수출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도 멕시코에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이들은 멕시코에서 자동차를 생산해 북미 시장으로 수출하며, 현지에서의 생산을 통해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관련 기업들도 함께 진출해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sk이노베이션, 포스코 등 다양한 대기업이 멕시코에 진출해 있으며, 주요 제조업과 관련된 생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멕시코는 북미 시장으로의 수출 거점 역할을 하며,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이 기회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로 미국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제조업체들이 진출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한국 기업은 포스코 같은 철강 기업들입니다. 멕시코의 경우 NAFTA 적용을 받아 미국 시장 수출 시 관세 혜택이 있습니다.
삼성, LG, 현대차, CJ 등 한국 주요 대기업들 이에 2천여개 기업들이 진출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