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어릴때 시골에서 직접연을?
제가 어릴때 만 해도 겨울 방학때
연을 만들어서 날리면서
놀고 했습니다 바람이 조금불면은
더 멀리 날아가서 재밌게 놀았어요
연 날리기는 언제부터 어떤 계기로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날리기는 아주 오래된 놀이입니다.
삼국시대 신라의 김유신이 반난군에게 사기저하 목적으로 연을 날린것으로 유명합니다.
삼국사기에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각가지 모양의 연을 하늘 높이 띄우는 연날리기는 정초에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하는 놀이이다. 대가지를
가늘게 잘라서 연살을 만들고 종이를 붙여 연을 만들고 살에 매어 바람 부는 언덕에 올라 높이 날린다. 때론 다른 사람과 서로 연실을 부벼 끊는 연싸움을 하기도 한다.
연을 띄울 때 '송액영복'이란 글자를 써 붙이는데 이것은 질병,사고,흉년 등 나쁜 액운은 멀리 사라지고 복이 찾아 오도록 비는 마음에서이다.
우리나라에서 연날리기가 널리 민중에게 보급된 것은 조선시대의 영조왕 때라고 하는데, 영조왕은 연날리기를 즐겨 구경했고 또 장려 하였다고 한다. 정월에 연날리기가 성행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일 년 사계절 중 이 때가 연날리기에 가장 적당한 바람(북서풍)이 불기 때문이다.
이 놀이에 대한 가장 오랜 기록은 647년 신라 때 김유신 장군이 불을 붙인 허수아비를 연에 달아 백제 진중에 띄워 보내서 적을 물리쳤다는 내용이 삼국사기에 적혀 있다. 연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 채색을 하거나 동물 등의 화상을 그리기도 하며 점을 찍고 종이를 오려서 붙이기도 하며, 그 종류는 1백여 가지가 된다고 한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의 역사는 멀리 그리스에서 시작이 되었고
그 다음에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갔으며
삼국시대 같이 기록에도 많이 남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에 647년에
“대신 비담과 염종의 반란이
일어났을 때 월성에 큰 별이
떨어지므로 왕이 두려워하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김유신이
허수아비를 만들어 연에 달아 띄워 다시 하늘로 오르는 것처럼 했다”는 기록이 있어 이 시기에 이미 연이
일반화되어 있었으며, 또한 놀이로, 전쟁 목적으로도
쓰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