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별개로 취급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토큰이코노미가 핵심적인 원동력임은 분명합니다.
이는 사업초기에 자본금을 기존 IPO보다 쉽게 유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거래소하고도 연관이 분명히 많이 있습니다.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토큰이코노미의 역할을 일부분 해주면 됩니다.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자본을 정부에서 지원해주면 충분히 일정수준의 기술력은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봅니다.
다만, 기술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개입이 지나치면 프로젝트는 실패로 많이 끝나게 되겠죠..
실예로, 노원구 지역화폐 같은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지역화폐, 선거시스템 등 일부분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정부주도하에 시작하고, 나머지 영역으로 확대해가면 됩니다.
다만, 규제가 심화되면 국내 기업들은 어쩔수 없이 해외에 법인을 두고 사업을 해야 겠죠..
워낙 스캠이 많으니...정부의 입장도 이해가 됩니다~~

1번의 신고로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 사실을 알리고
관리자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별개로 할수는 있으나, 프라이빗은 성격상 기업에서 운영할것이므로
블럭체인을 유지하기 위한 구축에 들어가는 자금문제가 없겠죠.
하지만 퍼블릭은 개인의 판단에 따른 희생이기때문에
코인같은 당근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블럭체인이 유지가 될수 없습니다
비트코인을 예로 들자면, 비트코인을 유지하기 위해 코인을 캐는 장비 1대의
성능이 테라급입니다, 이게 전세계적으로 엄청나게 퍼져있죠
전기세도 100w 가 아닌 몇백와트이상이구요
이걸 1년365일 24시간 켜 놓는다고 생각해보시면,
왜? 코인을 당근으로 줘야 하는지 아실겁니다..최소한 전기세 이상은 나와야 하지 않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