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다정한돼지87
다정한돼지87

왜 속도가 빨라지면 하늘로 뜨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자동차가 어느정도 이상의 속도가 되면 뜬다고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걸 방지하기위해 슈퍼카는 뒷쪽에 안뜨게 하는 장치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왜 속도가 빨라지면 뜨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가 빨리 달리게 되면 공기의 흐름이 생깁니다. 그 흐름이 자동차 위로 또 아래로 갈라져 흐르게 되죠. 그런데 자동차 구조상 위쪽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아래 쪽은 느리게 흐름니다. 그럼 윗쪽의 압력이 낮아져 자꾸 위로 가려는 힘이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늘로 뜨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속도가 빨라질수록 공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서, 이로 인해 차량이 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리프트'라고 부릅니다.

    차량이 움직일 때, 차량과 공기 사이에는 압력차이가 발생합니다. 차량의 전면에서 공기를 받아들이면서, 공기는 차량의 외형을 따라 흐르게 됩니다. 이 때, 공기의 흐름이 차량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서 서로 다르게 흐르게 됩니다. 즉, 차량의 밑면은 공기가 빠르게 흐르고, 윗면은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 아랫부분의 공기는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윗부분의 공기는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 때, 차량 아랫부분과 윗부분 사이에는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압력차이가 차량을 위로 밀어올려서 리프트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리프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슈퍼카의 경우 차량의 뒷쪽에 윙 디자인을 적용하여 리프트를 줄이는 효과를 냅니다. 윙 디자인을 통해 차량 뒤에 집중된 공기의 흐름을 변경시켜서 압력차이를 줄이고, 차량이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속도가 빨라지면 하늘로 뜨게 되는 이유는 베르누이의 정리 때문입니다.

    이 정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감소합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평평하지 않고 위쪽과 아래쪽이 다르게 생겼습니다. 이 때문에 날개 위쪽을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날개 아래쪽을 지나는 공기의 속도보다 빨라집니다. 그 결과 날개 위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날개 아래쪽의 압력이 높아져서 양력이 발생하여 뜨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자동차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리프트' 또는 '업리프트'라고 합니다. 이는 공기의 압력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자동차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동하는 자동차의 아래쪽과 위쪽의 공기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 차이가 커지므로, 자동차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이동하면 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