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상속전과 상속 후 매수금액 차이 발생 원인이 궁금합니다
최근 주식 상속을 받았습니다.
상속전 계좌잔고 및 거래내역상의 매수금액과
저한테 상속되었을때의 매수금액이 다른데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 100주 매수금액이 원래는
500만원이었는데(상속전), 상속후 제 계좌에
들어오니800만원이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평단이 올라가서 갑자기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어있어요..
이유가 궁긍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속전 계좌 잔고 및 거래내역상의 매수금액 과 질문자님에게 상속되었을때의 매수금액이 다른 이유에 대해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수금액은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계산이 되는데요.
상속 전 계좌 잔고 및 거래내역은 실제로 그 거래가 이루어진 날의 유상거래 금액이 매수금액이 되며, 상속 후 질문자님 계좌로 들어온 경우, 그것도 거래(무상거래)로 보기 때문에, 상속일(해당 주식이 질문자님 계좌에 들오온날) 기준으로 평가된 금액이 매수금액이 됩니다.
평단이 갑자기 올라서 당혹스러우셨겠지만, 상속 뿐만이 아니라, 타인에게 단순 주식 이체를 한 경우에도 이러한 방식이 적용이 됩니다.
상속하신분이 처음 삼성전자를 사실때 매수 금액이 한 주당 50000원이었으나 상속후 1주당 80000원이 되었다는 이야기인가요 그것은 처음에는 50000원 사셔지만 상속받은날 주가가 80000원을 오른 경우라 상속받은분이 80000원에 매수한것으로 나옵니다.
만약에 10만원 파시면 순이익 5만원이 아니고 2만원이 됩니다.양도소득세가 덜 나오기 때문에 본인 에게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