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의 기준은 학습되는 것인가요?
과거의 미인이라는 초상화를 보면 현재와는 전혀 다른 여성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보는 눈이 바뀌었다는것은 미는 학습되어지는 모습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의 기준은 학습되고 사회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뒤셀도르프 미인상이라고 구석기 유물이 있는데 아주 풍만합니다.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심각한 비만형입니다. 시대에 따라 미의 기준은 달라지는데 전통적으로 과거의 미인상은 오늘날에 비해 풍만한 여성을 선호했습니다. 이는 부의 상징이기도 하고 또한 다산의 상징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당 현종 대 양귀비나 조선의 황진희나 대부분 통통한 얼굴에 큰 엉덩이를 가자 여성입니다.
오늘날 마르고 탄력있는 여성을 선호하는데 사회적으로 미의 기준과 유행에 따른 학습과 모방의 결과가 아닌가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의 기준은 학습이 되어진다기 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따라 미인의 기준이 달라지는 걸 보면 절대적인 아름다움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개인이 가진 미의 기준 역시 그가 속한 사회환경 속에서 형성된 것이고, 개인의 주관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뜻에서 철학자 볼테르는 “두꺼비에게 미모를 물었다 하자. 귀밑까지 찢어진 긴 입 하며 툭 튀어나온 두 눈, 뒤뚱거리는 배를 가리킬 것이다”라고 말한 적도 있습니다. 고대시대에는 몸이 풍만하고 다산을 할수 있는 뚱뚱함이 미의 상징이였고 로마시대에는 섹시함이 중세시대에는 가렴함과 하얀 피부가 미의 기준이 됬다는 것은 미의 기준은 시대와 역사적 환경에 따라 변한다는 것이 사실 인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