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활발한말벌142
활발한말벌142

인간 신체 재생에 대해서 어느정도나 진전이 있나요?

10여년전에 인간 치아 재생을 위해 상어를 연구한다는걸 본 기억이 있습니다.

상어는 사냥시 치아가 손상되도 빠지고 다시 생성된다고 하더라구요.

인간 치아에도 적용한다는걸 봤는데 이후 과정이나 결과 혹은 포기한건지 알수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실험이 있습니다. 상어도 그렇고 돼지신장이 손가락등 말단부위를 재생시킨다는 것도 그렇고요.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연구성과는 없으며 원래 회복되는 신체의 피부, 간등의 회복을 돕는 정도의 연구단계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세상에는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 연구 결과가 상용화 되어 우리에게 적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상황도 그런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밝혀진 메커니즘을 통한 원리적 접근치료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신체조직 재생을 위해서는 줄기세포나 분화세포들을 직접 해당 위치에 이식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세포들이 자랄 수 있는 땅인 뼈대가 공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세포외기질(ECM)을 충분히 함께공급해주고있습니다.


    이러한 세포외기질을 함께 환부에 투여하는것 자체만으로도 신체 재생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처럼 실제로 사용되는 기술들이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경우 피부와 같은 일부 조직은 매우 쉽게 재생된다. 인간의 생리학적 항상성(homeostasis)을 위한 재생에는 적혈구(red blood cell)의 생성을 통한 교체, 여성의 월경 주기 동안의 자궁 내막의 제거 및 재생 등이 있다. 다른 많은 조직의 경우 손상된 경우 완벽한 재생이 쉽지 않다. 인간에게서 가장 많이 연구된 재생되는 조직 중 하나는 간(liver) 조직의 재생인데 간이 손상된 후에는 보통 간이 비대해지며 간의 정확한 형태는 회복되지 않는다. 성인의 경우 중추 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의 신경세포의 재생이 쉽지 않다는 점 또한 각종 퇴행성 신경 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s)의 치유를 어렵게 한다. 하지만 최근의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전, 특히 줄기세포 생물학의 발전으로 인해 점점 다양한 인간 조직의 재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