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의 병렬연결에 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항을 2개를 병렬연결하면 전체 저항은 작아지고 전류의 세기는 커지는데 왜 저항을 1개 연결한거랑 저항이 같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전체 저항 값은 개별 저항 값보다 작아집니다. 병렬로 연결된 저항의 전체 저항값은 \( R_{\text{total}} = \frac{1}{{\frac{1}{R_1} + \frac{1}{R_2}}} \)로 계산합니다. 이 때문에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됩니다. 저항을 한 개만 연결했을 때와 두 개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저항 값이 같을 수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병렬로 연결하면 항상 저항 값이 작아집니다. 아마도 병렬 연결과 직렬 연결 개념이 혼동되셨을 수 있습니다. 병렬로 연결한다면 항상 저항 값이 작아지며, 이는 전류가 여러 경로로 나누어져 흐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저항을 병렬 연결하면 전체 저항값이 줄어드는데, 이는 각 저항이 전류의 경로를 추가로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전류 흐름이 각 저항으로 나뉘면서 전체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게 되죠. 그러나 병렬로 연결된 저항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저항과 같지 않습니다. 병렬 저항의 전체 저항값은 각 저항값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저항값이 모두 동일하다면, 두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면 전체 저항값은 한 저항의 절반이 됩니다. 질문자님께 더 도움이 필요하다면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설명을 제공할 수 있으니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저항이 작렬일때는 각자의 저항이 되고 병렬로 연결하면 1/전체저항 = 1/병렬저항 + 1/병렬저항 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면 저항 3옴을 직렬로 2개하면 6옴인데 병렬로 하면 1/3 + 1/3 = 2/3 = 1/전체저항이므로 전체저항=3/2이므로 1.5옴으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쉽게 생각해보면 저항을 병렬로 설치하게 되면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각 저항체별로 흐르는 전류가 나뉘어져 저항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되는데요.
그래서 전기회로는 병렬구성을 하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항 2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체 저항은 감소하고 전류의 세기는 증가하는데, 이는 병렬 연결된 저항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전류를 흐르기 때문입니다.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 전체 전류가 되므로, 병렬 연결은 전체적으로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병렬 연결된 경우와 달리 1개의 저항만 연결한 경우에는 전체 저항과 전류의 세기는 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