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의 태화 및 불태화정책
국제금융에서 환율정책 중 태화 및 불태화 정책에 대해 궁금합니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혹은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태화정책은 외국 자본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국내에 유통되어지는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국내의 물가의 상승으로 연결되는데, 국가는 이러한 외국자본에 의한 자본 유통을 상쇄하여 물가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하게 되는 정책들을 지칭하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태화정책은 중앙은행이 외화를 매입하거나 매출한 결과 발생하는 본원통화의 증감을 상쇄, 다른 한편으로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채권을 매각하거나 매입하려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태화 정책이란 기본적으로 시장에 무분별하게 풀리게 될 시중 유동성, 즉 통화를 거두어 들인다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 여기서 영어로는 Sterilization이라고 하며 살균소독, 혹은 불임 시술을 의미하는데, 이는 일어날 문제를 미리 예방한다는 의미로써 쓰인 것으로 생각된다. 보통 중앙은행이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중앙정부가 직접적으로 나서서 해결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여기서 언급되는 통화는 외화를 의미하며, 외국의 통화가 국내에 지나치게 많이 유입되어 환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가장 크다. 뿐만 아니라 외환이 유입되어 자국 화폐로 환전한 뒤 국내에 투자를 실시하게 되므로 시중의 통화량도 늘어나는 것이 되어 물가 상승도 생각할 수 있다.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의 목적 중에는 물가 안정도 있으므로 중앙은행이 이에 대응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일단 통화를 거두어 들이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긴축 정책의 범주에 포함되며, 시중 통화량을 조절한다는 의미에서는 통화 정책의 범주에도 들어간다. 또한 공개시장조작으로도 볼 수 있는 정책이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불태화 정책은 결과적으로 중앙은행의 부채 항목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자산 항목의 구성만 바뀐다는 점이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태화 정책은 통화 정책의 긴축 정책으로, 통화량을 줄여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정책입니다. 불태화 정책은 통화 공급을 줄이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국채 매입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태화 정책은 통화 정책의 완화 정책으로, 통화량을 늘려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 성장을 촉진시키는 정책입니다. 태화 정책은 통화 공급을 늘리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거나 국채 매입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외국의 통화가 국내에 지나치게 많이 유입되어 환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가장 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태화 정책은 국가의 중앙은행이 자국 통화를 외화에 연동시켜 환율을 고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태화 정책은 반대로 국가의 중앙은행이 외화를 자국 통화에 연동시켜 환율을 고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태화 및 불태화 정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태화정책 혹은 태화개입이란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에 의한 순외화자산 변동이 동일한 크기만큼 본원통화의 변동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태화정책 혹은 불태화개입이란 태화개입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정부의 외환시장개입을 통해 초래되는 통화량의 변동을 공개시장 조작등을 통하여 상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