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김유정의 대표적인 단편소설로 동백꽃이라는 소설이 있는데 동백꽃 소설이 가지는 우리나라 현대문학에서의 의의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김유정의 대표적인 단편소설로 동백꽃이라는 소설이 있는데 동백꽃 소설이 가지는 우리나라 현대문학에서의 의의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토색 짙은 농촌의 배경 속에서 인생의 봄을 맞이하여 성장하여가는 충동적인 사춘기 소년, 소녀의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린 김유정의 대표작입니다.

    이 작품은 인물들이 약간 모자라는 듯한 소년소녀층으로 제시되어 있고, 인물들의 행동양식, 어법, 문체 등이 해학적이고 골계적인 점에서 김유정 문학의 일반적인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러 번의 닭싸움을 거쳐 두 사람의 점진적인 화해 관계 및 심리적인 대립 과정을 서정적으로 그려나가고 있는 점에서, 김유정의 다른 작품에 비하여 비극적 요소가 내재하지 않은 희극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이러한 골계미는 우리 문학의 전통적 맥락에서 볼 때 중세와 근세로 이어지는 평민문학의 미적 특질과 연결됩니다. 그러면서도 삶의 실제적 문제를 객관화하여 다루었다는 점에서 사실주의문학의 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이 작품도 김유정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처럼 바보들의 이야기를 웃음거리로 다루었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계층의 어긋남을 객관적으로 문제 삼은 웃음의 문학이라는 긍정적인 면으로 나누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유정은 강원도 출생으로 강원도 지방 어휘를 해학적으로 잘 구사하였습니다.

    감각적 묘사와 향토적 서정성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간결한 대화체와 역순행적 구성으로 읽는 이로 하여금 농촌 젊은이의 순수한 사랑을 자아내는 소중한 작품입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36년 잡지 <조광> 5월호에 처음 발표되어 현재까지 사랑받고 있는 대문호 김유정 집필의 단편소설. 사춘기 시골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사랑을 그려낸 작품으로, 현대적 관점에서도 해학적 요소가 많고, 구수한 강원도 사투리와 아름다운 순 한국어 단어를 사용한 김유정식의 작품이다.


    황순원의 소나기와 함께, 현대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알고 있는 단편문학 로맨스물이기도 하다. 다만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하는 <소나기>와 달리 <동백꽃>은 해학적인 내용이 주가 되며, 새드 엔딩으로 끝나는 <소나기>와 달리 <동백꽃>은 새드 엔딩이 아니다.

  • 「동백꽃」에서 ‘나’ 는 소작인의 아들로 점순의 구애를 이해하지 못하고 거절하나 결국 닭싸움을 계기로 그녀의 구애를 받아들이는 우직하고 순박한 청년입니다. 점순이는 마름의 집 딸로 깜찍하고 조숙한 처녀로서 적극적인 행위로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개성적, 동적인 인물입니다. 작가는 「동백꽃」에서 이런 순박한 인물 이미지의 설정을 통해서 서정성 넘치는 인간애를 담아냄으로써 1930년대 서정소설 창작에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