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닉 재보'라는 사람이 1996년에 고안해 낸 개념입니다. 이것을 비탈릭 부테린이 블록체인에 적용시켰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쉽게 설명드리자면 '조건만 맞으면 자동으로 체결 되는 계약'입니다. 따라서 거래의 중간에 제3자인 중개인이 필요없습니다. 닉 재보는 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 '자동 판매기'에 비유하곤 했습니다. 자동 판매기에 적힌 물품 가격을 보고 해당 가격만큼 재화를 지불하면 자동으로 계약이 체결되어 물품이 구매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블록체인에 적용되면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거래 당사자들이 서로 조건을 제시하고 그 조건이 맞으면 말 그대로 '스마트'하게 거래가 체결되어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됨으로써 위조나 변조가 힘들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당사자들끼리 상호 조건을 만족하여 자동적으로 체결된 계약이므로, 다른 방식의 계약들과 달리 향후 분쟁이나 다툼, 갈등 등이 적어지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이 스마트 컨트랙트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계약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거래라든가, 회사들 간의 계약에도 적용되어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특화된 코인으로는 대표적인 것이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발행량이라든가 잔고의 확인, 권한의 부여, 전송에 대한 것들을 정하여 토큰을 발행함으로써 네트워크의 Dapp들이 토큰 이코노미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현재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